•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韓中) 일월상문(日月象文)의 해와 달 문양 디자인 표현 비교 및 상징성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sm and Formative Expression of the Sun and Moon Pattern Design of the Ilwolsangmun between Korea and China)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0.12
10P 미리보기
한·중(韓中) 일월상문(日月象文)의 해와 달 문양 디자인 표현 비교 및 상징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8권 / 4호 / 399 ~ 408페이지
    · 저자명 : 장미경, 이미나

    초록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인간의 삶과 생활 전반에 영향을 준 해와 달의 문양 표현과 그 상징성을 찾아보기 위해 한·중(韓中) 일월상문을 중심으로 양국 문양 디자인 표현의 관련성 규명과 상징적 요소를 찾아 분석해 보는 것이다. 연구내용 및 범위는 삼국시대 유물부터 발견되는 해와 달의 문양을 대상으로, 대표성을 갖는 해의 원형적 표현인 삼족오(三足烏), 달의 원형적 표현인 두꺼비와 토끼로 제한한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韓中)의 일월상문(日月象文) 설화와 신화를 비교한 결과로, 음양사상에 근본을 두고 인간계의 혼돈을 바로 잡기 위해 1개의 해와 달이 남았으며, 해와 달을 상징하는 요소는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중(韓中) 일월상문(日月象文)의 문양 표현을 비교한 결과, 해와 달 문양이 출토되는 유물은 양국이 유사하며, 해는 원과 삼족오, 달은 원과 두꺼비, 토끼의 형태로 표현된다. 그리고 조류(鳥類)로 표현된 해는 3개 혹은 2개의 다리를 가진 삼족오의 형태로, 해의 내부·외부에, 정적·동적인 형태, 장식·비 장식적 표현으로 구분된다. 양서류와 동물로 표현된 달은 섬여(蟾蜍), 두꺼비와 토끼의 형태로, 달의 내부·외부에, 단독으로 혹은 함께 표현되며, 정적·동적인 형태로 표현된다. 양국 모두 음양사상(陰陽思想)에 근거하여 만들어졌으며 해 문양의 상징성은, 양(陽), 일정(日精), 하늘, 왕권, 장생, 천지인 사상, 영원성, 정치·사회·문화’를, 달은 ‘음(陰), 월정(月精), 물·땅·다산, 여왕, 민중, 장생불사, 풍요, 기원’을 상징한다. 결론 한국의 해와 달 문양 디자인이 중국에서 유래했다고 볼 수 있듯 서로 다르지 않은 요소들로 표현되었지만, 그 표현 양식에 있어서는 고유의 전통 양식을 형성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Objectives is to find and analyze the relevance and symbolic elements of patterns around Ilwolsangmun of Korea and China, to find the symbolism and formality of the sun and moon. Content and Scope Limited to the patterns of the sun and moon found in the relic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such as the Samjokoh, is known as the sun, moon is known as a toad and a rabbit. Result Comparing the tales and myths of the Ilwolsangmun between Korea and China, the sun and the moon was left to correct the chaos in the human world based on the notion of yin and yang, since the elements symbolizing the sun and moon were the same. Secondly, comparing the patterns of the Ilwolsangmun in Korea and China, The patterns of the sun and moon are similar in both countries. The sun is circles and Samjokoh, and the moon is circles, a toad and a rabbit. The sun is Samjokoh with two or three legs, which is divided into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sun, static or dynamic forms, decorative or non-decorative expressions. The moon is a toad and a rabbit that is portrayed individually or altogether around the moon, divided into both static and dynamic forms. The symbolism of the patterns of the sun is ‘yang, sun of spirit, sky, royal authority, longevity, heavenly thought, eternality,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and the moon symbolizes ‘yin, moon of spirit, water, land, fecundity, queen, people, eternal life, abundance, orig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