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위기능장애로서의 예술영화: 토르벤 그로달의 PECMA 플로우를 중심으로 (Art Film as Impeded Action Tendency in PECMA flow)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0.09
40P 미리보기
행위기능장애로서의 예술영화: 토르벤 그로달의 PECMA 플로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86권 / 3호 / 1 ~ 40페이지
    · 저자명 : 김남이

    초록

    이 글은 영화이론에 신경학적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토르벤 그로달의 PECMA 플로우 이론을 소개하고 그가 분석하고 있는 예술영화에 대한 주관의 경험을 어떠한 신경학적 근거로 주장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그럼으로써 신경학적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한 그의 이론이 영화이론과 나아가 철학적 미학 일반에 미치는 영향과 질문들을 고찰한다. 최근의 신경과학적 결과물을 토대로 새로운 미학을 주장하는 신경미학의 부상은 기존의 철학적 미학과 어떻게 만나고 상호작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다시금 성찰하게 한다. 이 글은 신경미학이 생물학에 국한한 것이 아니라 진화론, 인지과학, 심리학 등의 학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철학적 미학과 양립가능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본다. 토르벤 그로달의 신경학적 영화이론 또한 사회학, 문화학, 미학, 철학 등의 영역에 있던 영화를 과학적으로 조명하여 기존의 영화이론을 수정하거나 재구성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이론은 과학적 접근법에서 예상할 수 있듯 환원주의적 성격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은 그의 방법론을 우려의 시선으로 보기보다 그의 이론이 가진 유용성을 확인하고 기존의 영화이론과 나아가 철학적 미학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그의 영화이론의 중심에 있는 PECMA 이론이 어떤 신경학적 근거로 구성되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이 이론이 설명하는 이른바 ‘예술영화’의 특징들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그의 설명이 기존의 영화이론이 행해 온 예술영화에 대한 설명과 양립가능한 지, 혹은 수정해야 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가능할지 타진해본다.

    영어초록

    This essay examines PECMA flow that Torben Grodal has theorized with results based on neurologic experimentations, and how he elucidates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art films with it. Also, it investigates the impacts and questions on film theories and aesthetics in general, which his theory may create. Insisting on the time of new aesthetics established on recent researches, the emergence of neuroaesthetics lets us rethink how this would encounter and interact with the philosophical aesthetics. I see neuroaesthetics as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aesthetics because of its interdisciplinary approach with evolutionary theory, cognitive science, psychology, and so on. His neurological film theory also suggests the revision or the reformation in film studies, shedding light on neurology and biology. Considering its scientific methodology, we may find his PECMA flow theory reductionist to a certain extent. Nevertheless, I suggest that we should not simply dismiss the theory but look into how useful it is and what its contribution would be for the philosophical aesthetics as well as film theories. For this purpose, I show how PECMA flow theory works in film viewing and scrutinize his analysis of 'art films' by means of this theory. And I figure out whether or not his theory is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theories and in what manner we do if it requires the revis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