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향가 「원왕생가」, 「찬기파랑가」와 만해(萬海) 한용운의 시(詩)에 나타난 ‘달’의 의미 (The Meaning of 'Moon' in Hyangga 「Wonwangsaenga」, 「Changiparanga」 and in Poems of Manhae Han Yong-u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2.06
25P 미리보기
향가 「원왕생가」, 「찬기파랑가」와 만해(萬海) 한용운의 시(詩)에 나타난 ‘달’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21호 / 203 ~ 227페이지
    · 저자명 : 노제운

    초록

    이 글은 다양한 상징성이 함축되어 있는 ‘달’이 우리의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에서 어떤 의미로 다뤄졌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고대’ 가요인 신라의 향가(鄕歌)와 ‘현대’ 시(詩)인 만해 한용운의 시를 대상으로 하여 고대와 현대 작품에 나타난 ‘달’의 의미를 비교적인 관점에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때 향가의 경우에는 만해와 신분이 같은 승려들의 작품으로 한정하여 「원왕생가」와 「찬기파랑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작품의 접근방법은 융(C. G. Jung)의 ‘분석심리학’적인 시각을 기본으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만해의 시에 나타난 ‘달’은 「원왕생가」의 ‘아니마’라는 매개자로서의 이미지와 「찬기파랑가」의 차갑고 곧은 찬미의 대상으로서의 이미지를 포함하여 ‘나’를 엿보고 ‘나’에게 반응하는 인간적인 존재로, 또 화자를 필요로 하는 사랑하는 연인으로, 보다 다양하고 친근하며 구체적인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향가와 비교할 때 달과 화자의 거리가 가깝게 설정되었으나, 화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없이는 만날 수 없는, 가까이 있지만 쉽게 가까워질 수 없는 관계로 파악하였다. 또한 「찬기파랑가」에 나타난 따뜻하고 차가운 ‘달’의 양면성이 만해의 시에서도 ‘백옥(白玉)’과 같은 비유적인 사물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작품 속에서 ‘달’은 ‘보름달’이 되기도 하고, ‘그믐달’이 되기도 하며 ‘반달’이 되기도 하지만, 실상 달은 그것 자체의 변화무쌍한 속성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그대로이며, 고대와 현대 구분 없이 작품에 나타난 다양한 달의 이미지와 그에 따라 변화된 의미는 화자가 처한 상황과 태도에 따른 화자의 마음의 반영으로 파악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how the meanings of the 'moon' including the various symbolism are handled in our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s. For this,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moon', seen in the ancient and modern works from the comparative viewpoints with the 'Traditional' songs, the Hyangga of the Silla and the 'modern' poetry, poems of Manhae Han Yong-un. In the case of Hyangga, it treats <Wonwangsaenga> and <Changiparanga>, only works of monks such as Manhae with the analysis object. The approach method to works is on the basis of the 'analytic-psychological' view of Carl Gustav Jung.
    In conclusion, the 'moon' in the poem of Manhae includes the image as mediator, ‘Anima’ of <Wonwangsaenga> and the image as chilly, righteous and admirative object, <Changiparanga>. The moon in Manhae's poem is also expressed as the more various and concrete thing; it is the familiar and humane being which peeps 'me' and responds to me and it is the lover which requires me. Moreover, in comparison to Hyangga, the relation of the moon and the speaker is near, but never to meet without the active effort of the speaker. The ambivalence of the warm and cold 'moon' is also expressed concretely through the metaphorical subject like as 'white jade‘ in the poem of Manhae.
    While the 'moon' becomes the 'full moon', the 'dark moon' and the 'half moon', it always remains as it is in spite of the protean characters. Without distinction of the ancient and the moder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moon in works are the reflection of his mind on the speaker's situation and attitu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