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4世紀新羅의 土城築造背景 -達城과 林堂土城의 例를 통하여- (Background of Silla′s earthen fortifications in the 4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Dalseong and Imdang toseong-)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08.08
27P 미리보기
4世紀新羅의 土城築造背景 -達城과 林堂土城의 例를 통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고고학 / 46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장용석

    초록

    본 논문은 토성이라는 구조물을 통해 국가의 성립과정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대구와 경산지역의 달성과 임당토성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달성과
    임당토성의 축조를 통해 대구 및 경산지역의 정치체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달성
    과 임당토성을 통해서 신라의 토성축조 배경을 살펴보았다.
    신라국가에 의해 통합되기 전 대구와 경산지역에는 多伐國과 押督國으로 불려진 小國이
    각각의 盆地내에 獨自的인 세력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소국의 중심지인 國邑에는 달성과
    임당토성이 축조되어 있었으며,이들은 대략4세기 전반 경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구지역의 경우 달성이 축조되기 이전에는 청동기유물을 표지로하는 유적들이 금호강과
    신천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달성의 축조,대형목곽묘의 축조, 그리고 다음 단계인
    고총고분군의 축조에 이르기까지 달성유적은 목관묘 단계부터 고총고분 단계까지 대구분지
    의 중심유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경산지역은 임당유적에 필적할 만한 유적이 없는 것으로 보아 경산지역을 대표하는
    중심유적이라 해도 過言은 아니다. 목관묘 단계의 임당유적은 청동기류의 출토양상으로
    볼 때 대구지역에 비해 매우 열악하였으나 목곽묘 단계인3세기 후반에서4세기 전반경에
    이르러 대규모의 세장방형 목곽묘의 축조,순장묘의 출현,토성의 축조 등을 통하여 압독국
    의 중심읍락으로 성장하였으며, 고총고분 단계에도 경산지역을 대표하는 중심유적으로 자
    리한다.
    마지막으로 대구 및 경산지역의 중심부에 신라에 의하여 토성이 축조된 배경을 검토해보
    면, 당시 지방의 중요지점에 축성된 토성들은 신라정부의 필요에 의해서 축조되었는데,
    그것은 새롭게 편입된 광역화된 지방을 간접지배하기 위함과 동시에 군사적 용도로 사용하
    기 위해 축성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approach the process of states formation through earthen
    fortification. Dalseong and Imdangtoseong have been treated in this paper for
    framework.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those fortifications, it could be
    recognized the movement of polities in Daegu and Gyoungsan and the formation
    of Silla state.
    There were small polities called Dabeol, Apdok located in each basin in their
    own way before the subjection of Silla. Dalseong and Imdangtoseong were
    constructed in the centre at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approximately.
    In daegu, archaeological sites represented by bronze artifacts are distributed
    around Gumho river and Shin brook before the construction of Dalseong and
    it had maintained the centre site of Daegu region form the phase of wooden-coffin
    tomb to the phase of high mound tomb.
    It could be mentioned that Imdang site had represented the centre authority
    in Gyoungsan region, based on the nonexistence of rival polities. Imdang site
    would had been poor compared with Daegu region through the observation
    about the bronze-ware excavated from wooden coffin tomb. But after the last
    half of 3rd century, it had grown up as the centre town of Gyoungsan region.
    That reasoning would be supported by appearance of large wooden chamber
    tomb, Soonjang(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the construction of
    earthen fortification.
    Earthen fortifications located in centre position of each province were
    constructed by Silla state for needs; indirect ruling for the region which had
    been subjected newly, military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