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의 달(月)표현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Moon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Koryo Dynast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5.12
23P 미리보기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의 달(月)표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45호 / 205 ~ 227페이지
    · 저자명 : 조수연

    초록

    이 논문은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 6점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달의 표현에 대해 살펴보고, 달의 도상이 그려진 형성배경과 제작편년에 대해서 논하였다.
    수월관음보살도는 10세기경의 돈황 출토 수월관음보살도에서 초기 도상이 확인되며, 그 외의 白居易(772~846)의 『白居易集』卷39「畵水月菩薩贊」詩題, 그리고 『歷代名畵記』卷3(847年, 張彦遠著)「記兩京外州寺觀書壁」勝光寺條의 고대 문헌자료에서 초기 도상의 특징이 언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 도상과 기록에서 수월관음보살도의 달 도상에 대한 근거를 찾기는 어려웠다. 이에 일부 학자들은 보살을 두르고 있는 큰 圓光을 달로 해석하지만, 이는 여러 현존하는 작품과 기록을 참고할 때 달의 표현으로 보기 보다는 身光으로 보는 것이 맞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기 돈황 출토 수월관음보살도에서 보이지 않던 달의 도상은 8세기경의 수월관음보살도 이외의 관음보살도 등에서 나타나기도 하며, 이후 12세기 서하 유림굴 제2굴(主室 西壁 北側)의 수월관음보살도에서도 보인다. 그러나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에서 보이는 달의 표현과는 차이를 가졌고, 이 외의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잘 확인되지 않았다.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 6점에서 보이는 달의 표현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하나는 金彩와 金線으로 그려진 단순한 보름달 또는 초승달의 표현이고, 또 다른 하나는 계수나무 아래서 방아를 찧고 있는 토끼가 보름달 안에 그려진 것이었다. 토끼가 그려진 도상은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표현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며 각 작가의 개성이 드러나 있었다. 그리고 토끼가 묘사된 달은 일반적인 흰색의 달이 아닌 붉은 색의 달로 표현되는 특징을 보였는데, 이러한 특징은 수월관음도 이외의 고려시대 불교회화에서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 가운데 제작년도를 알 수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도상을 살펴봄과 동시에 특징적인 달이 묘사된 여러 주제의 고려시대 불교회화를 달이 표현된 수월관음보살도와 비교해 볼 때, 달 도상은 일정한 형식의 수월관음보살도가 성립된 이후에 추가 표현된 것으로 여겨졌다. 그리고 달의 표현이 추가된 수월관음보살도는 40여점의 수월관음보살도의 도상변화를 참고 할 때, 대략 1323년경을 넘어서 1350년경 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 달 토끼 도상은 중국 한나라의 민간신앙에 영향을 받았지만, 나름의 도상을 정립해 나간 평양계열의 고구려 고분벽화의 영향아래 특징적인 달의 도상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그리고 그러한 도상이 이후의 고려 불교회화에도 영향을 줄만큼 고려사회에 민간신앙으로 자리 잡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달의 도상은 비록 부분적인 도상에 불구하지만, 고려시대 불교회화의 성격은 물론 고려사회의 민간 신앙을 일러주는 도상이며 더불어서 불교회화와 민간신앙과의 관계성 및 제작시기를 추정하는 것에 있어서도 중요한 도상으로서 그 의미는 크다고 판단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of the moon in six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from the Koryo Dynasty, and discussed the background and date related to how the icon of the moon was developed.
    The early icons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are found in the paintings created in around 10th century excavated from Dunhuang, and beside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icons are mentioned in ancient literature such as the title of poem Hwasuwolbosalchan (畵水月菩薩贊) in Volume 39 of Baek Geo‐yeok’s (白居易; 772~846) Baekgeoyeokjip (白居易集), and the Articles of the Seunggwang‐sa Temple (勝光寺條) in Volume 3 Giryanggyeongoejusagwanseobyeok (記兩京外州寺觀書壁) (written by Jang Eon‐won (張彦遠) in 847) of Yeokdaemyeonghwagi (歷代名畵記). However, it was hard to find the origin of the moon icons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such early icons and records. With regard to this, some researchers interpreted the large circle of light surrounding the Bodhisattva as the moon, but according to several works and records extant, it was considered appropriate to interpret it as vali‐cakra (身光) rather than as an expression of the moon.
    The icon of the moon, which was not found in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excavated early from Dunhuang, began to appear i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addition to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created in the 8th century, and it is also seen in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 in the 2nd cave of the Yulin Grottoes from the Western Xia Dynasty in the 12th century(on the northern side of the western wall of the main hall).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the expression of the moon observed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from Koryo Dynasty, and is hardly visible in other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The expression of the moon in the six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from the Koryo Dynasty is divided largely into two types. One is the expression of a full moon or a crescent drawn with gold powder (金彩) and gold line (金線), and the other is the expression of a full moon with inside a rabbit pounding rice in a mortar under a cinnamon tree. The icons with a rabbit are quite similar with one another, but each of them shows a slight difference in expression and exposes the painter’s character. In addition, the moons with a rabbit are not the usual white moon but are expressed as a red moon, and this characteristic is observed not only in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but also in other Buddhist paintings in the Koryo Dynast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icons of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focusing on the works whose date of creation is known, and at the same time, compared other Koryo Buddhist paintings of different themes that expressed the moon characteristically with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expressing the mo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oon icon is believed to have been added after the style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was established. What is more, considering the changes of icon in some 40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t is estimat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moon was added in 1323 at earliest and in around 1350.
    The rabbit icon in the moon was an influence of folk beliefs in the Han Dynasty of China,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haracteristic icon of the moon was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Kokuryo mural paintings in the line of Pyeongyang, which established its own icons. This also suggests that the icon was settled as a folk belief in the Koryo society until it influenced Buddhist paintings created afterwa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