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星泉 柳達永의 생애와 민족의식 (Sung Chun Yu, Tal-Young’s lifetime and national consciousnes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3.12
41P 미리보기
星泉 柳達永의 생애와 민족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31권 / 31호 / 287 ~ 327페이지
    · 저자명 : 김동선

    초록

    류달영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식민시대를 경험하고 해방이후의 혼란한 상황을 겪은 지식인이었다. 그에게 가장 중요한 명제는 조국의 독립과 건국된 새나라의 통일과 번영이었다. 그는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농촌계몽운동과 사회교육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류달영은 1928년부터 김교신으로부터 무교회주의신앙과 더불어 조국애와 민족의식을 받아들이고 농촌운동을 하겠다는 열망을 가지게 되었다. 때문에 당시 조선의 유일한 농학고등기관이던 수원고농에 진학하고, 졸업 이후에는 무교회주의자들과 더불어 활동하면서 『성서조선』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그에게 있어 기독교는 단순한 신앙의 차원이 아니라 조국을 광복시키고 지상의 낙원으로 건설할 수 있는 하나의 통로였다. 때문에 스승인 김교신을 종교인이라기보다는 민족주의자로 평가했다. 또한 농촌계몽과 여성교육에 대한 열망으로 『최용신 소전』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 류달영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새 역사를 위하여』를 저술하고, 국가발전 방략을 제시하였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류달영은 1961년 9월 재건국민운동본부장으로 취임하였다. 이것을 기화로 그는 ‘군정협조자’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였으나 류달영은 재건국민운동본부장으로 취임한 것은 군정의 단축과 민주운동으로 향토건설을 하고자 한 것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그는 장면 정권기의 통치방식과 이념이 공산주의를 국복하는데 적절치 못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그는 ‘감정적 반공’이 국가와 민족에게 더 해롭다고 평가하면서, 승공의 필수조건은 “높은 윤리에 터잡은 국민정신, 순화된 종교, 건전한 경제생활, 문화의 순조로운 발전”이라고 역설하였다. 그리고 궁극적인 발전지점은 인류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복지국가의 건설로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힘의 원천은 자각에 의한 사회적 힘을 육성해나가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처럼 류달영이 국민복지향상을 통한 승공을 주장한 것은 민족분단이라는 특수상황과 통일을 의식했기 때문이다. 류달영은 재건국민운동을 관에 종속된 것으로 남겨두고 싶어 하지 않았으나, 군인들의 정치적 개입이 노골화하면서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에 결국 1963년 4월 본부장직을 사임하였다.
    아울러 그는 나라꽃인 무궁화에 남다른 애정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무궁화 선비’라는 별칭을 얻기도 하였다. 그는 이러한 활동을 통해 수난의 역사를 되새기면서 국토미화와 국민의 정서순화를 촉진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즉 무궁화에 대한 그의 애정은 단순히 무궁화 자체에 대한 애정일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문화 전반에 대한 애정을 무궁화에 투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류달영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이후까지 생존한 지식인이자 교육자로 동시기의 시기의 지식인들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민족과 국가를 위해 어떤 고민을 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Ryu Dal Young was an intellectual who were born in Japanese colonial times and went through chaotic situations after the Korean liberation. The most important goal to him was national independence and the unification and prosperity of the newly established nation. He tried to solve the tasks of the times through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and social education.
    From 1928, he began to learn patriot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and accepted non-church movement from Kim Kyo Sin. From then, he came to have aspiration that he would lead rural enlightenment movement. For the reason, he entered Suwon Agricultural High School that was then the only agricultural high education institute in Chosun. After graduation, he worked with non-church movement activities and served time for ‘Sungsu Chosun Incident’. To him, Christianity was more than a simply faith but a passage through which he believed he could make his country independent and an earthly paradise. Therefore, he viewed his master Kim Kyo Sin as nationalist, rather than a religious man. In addition, Ryu Dal Young published “Choi Young Sin Sojeon (a short biography)”.
    After the liberation, Ryu Dal Young became a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agricultural science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While in professorship, he published “For A New History” and proposed a plan for national development. It served as a momentum that he was designated as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Headquarters in September 1961. Taking the office placed him under the criticism that he was ‘an aid to the military regime’. However he explained that he assumed the office because he intended to shorten the military government and to pave a way to democracy.
    He thought that the way and ideology of Jang Myun administration to rule the country were not appropriate in overcoming communism. He evaluated ‘emotional anticommunism’ to be more harmful on the nation and the people. Thus he emphasized that the requirements to win communism should be “the national spirit of high ethics, purified religion, sound economic life and smooth cultural development”. He also thought that the beginning point to optimal development was building a welfare state that he thought could contribute to world peace and viewed fostering social power through self- consciousness as the source of power necessary to achieve the goal.
    The reason why he claimed the development of a welfare state as a way of overcoming communism was that he was aware of such special circumstances as the national division and unification. Ryu Dal Young didn’t want to leave national reconstruction movement in the hand of the government, but, in April 1963, he eventually resigned from the post in prospect that he couldn’t attain his goal as military intervention in politics became conspicuous.
    By the way, he had particular affection to Mugunghwa (rose of Sharon), which is the national flower. Accordingly, he was dubbed “Mugunghwa Sunbi (classical scholar)”. He, having gone through such rough experiences, attempted to glorify the nation and purify the national spirit. That is, his affection to Mugunghw doesn't mean only his love for the flower itself, but also symbolizes his entire love for the national culture.
    To sum up, Ryu Dal Young was both an intellectual and educator who survived post-liberation through Japanese colonial era. He is the very example that represents how his contemporary intellects thought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and what they did for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