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텔레비전 드라마의 달동네 표상 (Representations of the 'Daldongne [shantytowns]' in TV dram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1.06
34P 미리보기
텔레비전 드라마의 달동네 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5호 / 7 ~ 40페이지
    · 저자명 : 고선희

    초록

    본고는 도시 빈민 주거 공간의 한 형태인 ‘달동네’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재현되어온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는 글이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의 공간은 당대인의 일상을 사실적으로 재현해내는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닐 뿐 아니라 사회의 제반문제들과 밀접하게 관련돼 변화하는 표상 공간으로 기능한다. ‘시대’와 ‘사회’ 그리고 ‘문화’에 따라 그 표상 작용을 달리 할 뿐 아니라 현실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기도 하는 것이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도시 하층민의 주거공간인 ‘달동네’가 연속극의 주 무대로 등장한 것은 1980년대 초부터였다. 1980년의 <달동네>가 방송되기 이전까지는 중산층 이하의 도시인이 텔레비전 연속극의 주역으로 등장한 예를 찾아보기 어려웠고, 따라서 서울 변두리 고지대의 하층민 주거지를 주 무대로 한 일일연속극 <달동네>의 출현은 획기적인 것이었다. 5.18광주항쟁과 신군부의 집권 등 정치사회적 혼란에도 불구하고, 이 드라마는 오륙십 퍼센트에 육박하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신드롬을 일으킨다. 드라마 <달동네>에서는 “열심히 살면 곧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을 끊임없이 설파하고 있었으며, 이는 변두리 ‘달동네’의 하층민들에서 도심 중산층으로의 계층상승이라는 1980년대 초 한국사회 구성원 다수의 공통된 욕망과 성공적으로 만나고 있었다. 이른바 ‘서민의 애환을 어루만져주는 드라마’로 열광적 호응을 얻은 것이다. 하지만 80년대 말에 이르면 달동네는 더 이상 희망의 공간으로 제시되지 않게 된다. 이는 1987년 6월 시민혁명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도시 빈민의 주거환경은 더욱 열악해져 갔던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강남개발을 핵심으로 하는 도시재개발 사업의 과정에서 달동네 주민들은 철저히 소외되고 축출되어, 그들의 삶은 더욱 피폐해져 갔다. “우리도 드라마 속의 저들처럼 잘 살 수 있다”던 희망이 환상에 불과했음이 드러났던 것이다. 1994년 MBC 주말연속극 <서울의 달>은 달동네 주민의 변화된 인식과 변질된 욕망의 구조를 풍자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서울의 달>은 도시 고지대의 빈민촌을 무대로 하고 있으며 계층상승에의 욕망을 서사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1980년의 <달동네>에서와 유사하지만, 그들이 자신들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 선택하는 삶의 방식은 과거와 크게 달라진 양상을 보인다. <서울의 달>의 달동네 사람들은 제비족, 춤 선생, 꽃뱀 등 결코 ‘보통’의 ‘서민’이 아니며, 주인공 ‘홍식’은 “한탕 크게 성공해 미국으로 튀기” 위해 친구를 속이고 사기결혼도 마다 않는 인물이다. 달동네라는 공동체 공간에 대한 그들 스스로의 인식도 달라져 있다.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도시로 진입해온 실향민들이 서로 의지하고 위로하던 1980년의 <달동네>에서와 달리, 1994년 <서울의 달>의 달동네 구성원들은 서로 속고 속이며 쫓고 쫓기는 이전투구를 벌인다. 달동네는 더 이상 고향처럼 포근한 안식처로만 남아있을 수 없게 된 것이다.
    요컨대 <달동네>에서의 달동네가 일상의 행복을 신화화하며 근대화 산업화의 장밋빛 판타지를 생산해낸 공간이었다면, <서울의 달>에서의 달동네는 그러한 판타지에 균열을 일으키는 저항적 공간으로 변화했다. 1980년 <달동네>에서 1994년 <서울의 달>에 이른 ‘달동네’ 표상의 이러한 변화는 근대화 산업화가 결국 우리에게 무엇이었는지 다시 한 번 되돌아보게 만든다. 한국의 자본주의 산업화가 빈곤층을 여하히 양산하고 소외시켜 왔으며 그들의 삶을 파괴해 왔는지, 텔레비전 드라마의 달동네 재현 양상과 그 표상의 변화를 통해 보다 실재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is the paper about the representation patterns of 'Daldongne [shantytowns]' in the TV drama and its representation by focusing on the changes, the urban poor in Korea in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of the life. Especially it reveals how their lives changed gone, in the process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as the core to the development of Gangnam, Seoul, '70s And '80s, While the reappearance of such historical experiences as a medium to illuminate the role of television drama writing.
    Since the early 1980s, 'Daldongne [shantytowns]', the urban poor housing space, was emerged in the Korea TV Drama as the main stage of the soap opera. Previously, it was was difficult to explore a television soap opera emerged of the urban poor more than middle-class. Therefore, the highlands in the outskirts of Seoul, the lower class housing, the breakthrough of 'Daldongne [shantytowns]' as a main stage in a daily soap opera was the advent of. TV drama <Daldongne> was enthusiastic response to be obtained as 'a drama give comport to ordinary people, and soothe the sorrow of them. <Daldongne> had been preaching the hope constantly "Live hard, would be better soon". It was met successfully a common desire of Korea and a number of community members in the early 1980s. Their desire was rising hierarchy from Outskirts' shantytowns of the urban underclass to the middle class.
    However by the end of the '80s, 'Daldongne [shantytowns]' had not anymore be presented as a space for hope. In the urban redevelopment process as the core of Gangnam development, residents were alienated from the shantytowns, and they were driven further impoverished and their lives has become exhausted. The hope "We can live well in the drama like them" will be tightly integrated picture has more than a mirage.
    TV drama <The Moon of Seoul>, 1994, was representation to the structure of desire to reproduce and changed perception of the residents of these shantytowns. <The Moon of Seoul>(1994) is similar to <Daldongne>(1980) in the sense that made the narrative desire of rising hierarchy and setting in urban slums at the highlands, but it seems significantly different patterns to achieve their desire to choose a way of life. Their own perception for 'Daldongne [shantytowns]' in a community space was changed. Members of the shantytowns in the <The Moon of Seoul> lied to deceive each other and chasing pitched fights before being chased. 'Daldongne [shantytowns]' was not any more like a cozy home.
    In conclusion, 'Daldongne [shantytowns]' in <Daldongne>(1980) was the space of fantasy which were provided the myth of the rosy hopes for the future, but in <The Moon of Seoul>(1994) it had been changed as the resistance space that cause cracks Fantasy of the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in. The changes of representations of 'Daldongne [shantytowns]' in TV drama, tell us ultimately, South Korea's capitalist industrialization has made a lot poverty out and has been isolated them, destroying their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