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인훈의 <달아 달아 밝은 달아>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본 철학적 부조리-<심청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Exploring Absurdity through the Structural Features of Choi In-hoon’s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A Comparative Study with Simcheongje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3.08
35P 미리보기
최인훈의 &lt;달아 달아 밝은 달아&gt;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본 철학적 부조리-&lt;심청전&gt;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47호 / 329 ~ 363페이지
    · 저자명 : 신찬경

    초록

    본고는 최인훈의 희곡 <달아 달아 밝은 달아>를 <심청전>과 비교하여 작품에 형상화된 비합리적 세계의 양상을 규명하고, 합리성을 추구하는 개인의 의식과 합리성의 요구에 침묵하는 불합리의 세계 사이에서 탄생하는 ‘부조리’를 조명함으로써 작품이 가능하게 하는 사유의 영역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심봉사와 뺑덕어미, 매파, 색주가의 손님, 해적 등 심청의 주변 인물들은 심청을 착취하는 욕망을 매개로 연쇄된다는 특징을 지니는데, 이를 통해 극대화되는 욕망의 파괴적 양상은 서사적 당위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심청전>은 인물의 인격적 도약과 서사적 보응의 구조를 통해 복선화음의 질서가 구축된다는 점에서 이상적이고 합리적인 세계를 그린다. 반면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인격적 변화가 부재한 고착화된 인물 형상과 도덕적 인과가 부재한 서사구조를 취함으로써, 도덕적 인과율이 작동하지 않는 불합리한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
    작품에 나타난 불합리의 세계와 <심청전>의 합리적 세계 사이의 간극을 응시하고 심청의 환상과 심청이 경험한 사실 사이의 절연 상태를 인지하는 가운데, 수용자는 인간의 호소와 세계의 비합리적 침묵이 대면할 때 탄생하는 부조리의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런데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환상이라는 도약 작용을 통해 부조리를 해소해버리는 한 인간의 모습을 그려냄으로써, 역설적으로 심청과 그의 삶 사이에 존재하는 부조리가 정신적 비약으로 빠지지 않을 수 없을 만큼 가혹하고 불가해한 것임을 드러내고, 합리성을 추구하는 인간의 의식에 끝내 침묵한다.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도덕적 인과법칙의 지배를 받지 않는 세계와 합리성을 추구하는 인간의 지향 사이에서 탄생하는 부조리를 인지하게 하고 부조리에 대한 응시와 직면의 어려움을 깨닫게 하며 부조리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적 사유의 장으로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By comparing Choi In-hoon’s play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with Simcheongjeon, this study aim to identify the aspect of the irrational world embodied in the work and to explore the realm of “absurdity” that arises between the pursuit of individual consciousness towards rationality and the irrational world that remains silent in the face of rational demands.
    The characters surrounding Simcheong are characterized by a series of desires that exploit her, and the destructive aspect of this magnified desire poses a lack of narrative justification. Simcheongjeon depicts an ideal and rational world through the structure of characters’ personal growth and narrative rewards, establishing a punitive justice. On the other hand,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embodies an irrational world where moral causality does not operate effectively by taking the shape of a fixed character without personal change and a narrative structure without moral causality.
    Amidst contemplating the divide between the irrational world portrayed in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and the rational realm of Simcheongjeon and recognizing the state of isolation between Simcheong’s illusion and her experienced reality, the audience comes to experience the emotion of absurdity that emerges when human appeals meet the irrational silence of the world. However,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paradoxically depicts a human figure who resolves absurdity through the leap of an illusion, thereby revealing the inherent harshness and insurmountable nature of the absurdity existing between Simcheong and his life. This is ultimately silenced by human consciousness in pursuit of rationality.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serves as a metaphysical realm of thought by making one aware of the absurdity born between a world not governed by moral causality and the human inclination for rational pursuits. It leads to an acknowledgment of the challenge of facing and confronting absurdity, guiding the senses and thoughts towards the perception of absurdity, and thus holds significance as a venue for metaphysical contemp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