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일본인과 조선인의 온돌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주거 문화 관련 자료집을 중심으로- (The view on Ondol between Japanese and Korean people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Focused onA Source Book Related To Housing Cultureedited by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1.08
35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일본인과 조선인의 온돌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주거 문화 관련 자료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18권 / 297 ~ 331페이지
    · 저자명 : 이영수

    초록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펴낸 주거 문화 관련 자료집을 중심으로 일본인과 조선인의 온돌관을 비교․고찰한 것이다. 이 자료집은 일본인과 조선인이 주거와 관련해서 일문과 국문으로 발표한 글들을 모아 편집한 것으로, 당시 온돌 관련 사항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온돌의 등장은 우리 가옥 구조와 생활 방식, 그리고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주생활 전반에 걸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온돌은 일제강점기에 산림 황폐화의 주요인으로 꼽히며 끊임없이 개량 내지 폐지해야 한다는 논란을 불러일으킨다. 본 연구는 당시에 제기된 온돌과 관련된 논의를 크게 경제적 측면, 위생적 측면, 인간 행태적 측면으로 나누고, 다시 경제적 측면을 산림의 황폐화와 온돌의 개조로 세분하여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일본인들은 조선의 온돌을 산림을 황폐화시키고 위생상 좋지 않으며 나태한 조선인을 양산하는 산물로 인식한다. 그래서 조선의 온돌을 문명과 근대에 역행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해체해야 할 대상으로 여긴다. 이러한 비판적 시각은 주거에서 조선 고유의 색채를 일소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정신을 말살하여 그 종속관계를 영구히 지속하고자 했던 일제의 민족말살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일본인과 달리 추운 겨울을 이겨낼 방도가 온돌 이외에 달리 대안이 없었던 조선인에게 있어서 온돌의 존폐는 바로 민족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였다. 그래서 일본인과 달리 온돌의 장점을 부각시키면서 온돌의 구조적 형태를 지키고자 한다. 이것은 일제강점기 하에서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일본인에 의해 온돌의 폐단으로 제기된 비경제성과 비위생성 등은 양국의 생활 방식에 따른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지 결코 온돌이 주는 폐단은 아닌 것이다.

    영어초록

    The current study compared and examined the view of Ondol between Japanese and Korean people focused on A Source Book Related To Housing Culture published by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This source book was edited collecting the Japanese and Korean people's articles published in Japanese and Korean in relation to housing, which has advantages to easily understand details related to Ondol at that time.
    The advent of Ondol brought about a lot of changes in the whole housing life ranging from the structure of our houses and lifestyles to household items. This Ondol caused constant controversy that it had to be improved or abolished being pointed out as a main factor of forest denudation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The present study divided a debate related to Ondol into largely three aspects of economical, hygienic, human behavior aspects, and again subdividing the economical aspect into forest denudation and remodeling of Ondol to discuss them focused on relevant data.
    The Japanese consider Ondol of Chosun as a product to devastate forests and to mass-produce lazy Koreans being making insanitary environments. That's why they think that Ondol of Chosun as what is counter to civilization and modern times and that it should be de-constructed. This critical view is not unrelated to Japan’s policy to obliterate the Korean nation that they tried to eternally keep a subordinate relationship annihilating our national spirit by sweeping away Chosun's own distinct features in housing.
    For Koreans who had no alternative except Ondol to get through cold winter unlike the Japanese, the question of its maintenance or abolition was an issue connected directly to the very survival of the nation. That's why unlike the Japanese, the Korean people tried to keep the structural form of Ondol strengthening its advantages. This was a part of efforts no to lose our national identit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And uneconomical and unsanitary characteristics etc. which the Japanese pointed out as a lethal factor of Ondol are arising from differences in the lifestyle between two countries rather than its own fundamental deficien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