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劉一明 『象言破疑』와 李東豪 內丹修鍊 체험기록 『百日象言』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iu Ii Ming’s Solving Symbolic Language and Lee DongHo’s One Hundred days Symbolic Language, a Record of Experience during Inner Alchemy Practic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7.11
44P 미리보기
劉一明 『象言破疑』와 李東豪 內丹修鍊 체험기록 『百日象言』의 상관관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47호 / 231 ~ 274페이지
    · 저자명 : 조민환

    초록

    性命雙修를 主張하는 劉一明은 道眞에 대한 修眞 過程과 그 結果에 대한 疑心을 깨우쳐주고 아울러 잘못된 利害를 打破한다는 점에서 『象言破疑』를 著述하고, 多樣한 圖象을 그린다. 劉一明은 特히 『周易』의 ‘立象以盡意’의 思惟를 收容하고 具體的인 圖象을 통해 道眞의 本質을 說明하고자 한다. 劉一明은 丹經은 모두 ‘상을 빌려 이치를 비유한 것 [借象以喻理]’이란 입장에서 출발하여 기존 경전은 ‘有象으로 無象’을 비유하고 ‘有形으로 無形’을 보여준 것이라 이해한다. 아울러 단경은 ‘상을 취해 (참된) 진리를 알기 쉽게 설명하려는 의도[取象演眞]’가 담겨 있기 때문에 ‘상을 통하여 이치를 궁구할 것[由象以窮理]’을 말했다고 이해한다. 특히 象言 그 자체는 진리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執象하여 道眞을 올바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비판한다. 이에 祖師들이 ‘상을 취하고 말을 비유한 것[取象喩言]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하나로 得象忘言과 得意忘象을 강조하면서 道眞에 대한 참된 체득을 강조한다. 劉一明이 『象言破疑』를 통해 규명한 도교 원리와 도상은 이후 중국 도교의 많은 인물들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한국에서 도교를 수련하는 인물들에게도 영향을 준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李東豪가 16년간에 걸친 내단수련 과정을 ‘日誌’ 형식으로 기록한 『宗義 李東豪 修鍊日誌』가 그것이다. 이동호는 제자들의 100일 동안의 내단수련 과정에서 나타난 圖象과 象言들을 모아 하나의 책자로 만들어 『百日象言』이라 이름한다. 이런 자료들은 劉一明의 『象言破疑』와 대비될 수 있는 자료로서, 한국 도교사에서 유사한 형태를 찾아볼 수 없는 내단체험과 관련된 소중한 수련자료에 해당한다. 이러한 李東豪의 『日誌』와 『百日象言』은 中下者 에 해당하는 인물들이 하루하루 매시간마다 수련한 결과를 도상으로 기록하고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자신들이 수도 과정에서 얻은 도상과 수련과정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를 확인 가능한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Liu Ii Ming Solving Symbolic Language, and Inner alchemy training experience record One Hundred days Symbolic Language. Liu Yi Ming, who advocates cultivating gold elixir which never separate life from essence, writes Solving Symbolic Language and draws a variety of pictures in that he breaks the doubt and the wrong interest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truth and the result. In particular, Liu Yi Ming accepts the idea of forming a shape and fulfilling the meaning of The Book of Changes, and intends to explain the essence of the road through concrete diagrams. He understands that the existing scriptures show 'formlessness' and 'no formlessness'. In addition, the Taoism scriptures say that I will try to do the same through the form because it contains an intention to take shape and to explain the truth in an easy to understand way. In particular, the Symbolic Language itself is not true, but it is obsessed with the form and criticizes the failure to understand the true figure. And emphasize that one of the righteous understandings of the grandfathers to take shape and to compare the words is to learn to lose the word if you have got it. The principles of Taoism and diagrams which he clarified through his book have influenced many people related to Chinese Taoism in the following years, and can also find traces that have influenced Taoist practitioners in Korea. One of them, Lee DongHo, is a Lee DongHo Inner alchemy training experience Diary which records 16-year-old training courses in the form of diary. He collects diagrams in the course of 100 days of disciples' training and calls them One Hundred days Symbolic Language as one booklet. These data are comparable to Solving Symbolic Language and correspond to valuable training data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Inner alchemy in the history of Korean Taoism. Lee Dong-hwa's diary and Inner alchemy training experience record One Hundred days Symbolic Language records and expresses the result of training each person who falls below the middle every hour.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y provide the data that can confirm whether the diagrams and the training process obtained from the process of policing themselves are corr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