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석수동 214번지의 역사, 단일한 공간과 중첩된 시간 - 중초사지 당간지주, 안양사지를 중심으로 - (History of 214 Seoksu-dong, overlapping time with a single space - Focusing on the flagpole supports at Chungch'osa Temple Site, Anyangsa Temple Site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3.03
42P 미리보기
석수동 214번지의 역사, 단일한 공간과 중첩된 시간 - 중초사지 당간지주, 안양사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49호 / 7 ~ 48페이지
    · 저자명 : 임동민

    초록

    안양시 석수동 214번지라는 단일한 공간에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시간의 층위가 쌓여 있다. 먼저, 중초사지 당간지주의 명문은 석수동 214번지의 ‘사찰의 시간’이 고대부터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명문에는 당간지주 조성 시기, 주체, 과정이 상세히 남아있다. 고려 태조는 이곳을 안양사로 바꾸고 칠층전탑을 세워 대대적으로 중창하였다. 석수동 214번지는 고려시대 안양사와 함께 본격적인 ‘사찰의 시간’을 맞이하였다. 2008∼2011년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시대 안양사의 역사성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보완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신라에서 고려로 이어지는 역사성을 분명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는 사역 주변에 대한 조사가 축적되어, 남쪽과 서쪽에서 안양사 관련 건물지를 확인하였다. 동쪽에는 석수동 마애종, 안양사 귀부 등 고려시대 불교 문화유산이 산재하고 있다. 따라서 안양사는 석수동 214번지를 중심으로 넓은 사역을 유지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사찰의 시간’이 쇠락한 이후, 근현대에는 삼성천의 자연경관을 활용한 ‘오락의 시간’이 찾아왔다. 이 시기에도 ‘사찰의 시간’에 대한 근대적 조사가 일부 시도되었다. 해방 이후 석수동 214번지에는 건축가 김중업의 설계로 유유산업 안양공장이 들어섰고, 새롭게 ‘건축의 시간’이 시작되었다. ‘건축의 시간’은 2000년대 공장 이전, 안양시 매입, 발굴조사를 거치면서 박물관으로 탈바꿈하여 ‘사찰의 시간’과 적극적인 연계를 시작하였다. 한편, ‘오락의 시간’은 1970∼80년대 이후 대폭 쇠퇴하였는데, 2000년대 안양시에서는 안양예술공원으로 재편하면서 새롭게 ‘예술의 시간’을 열어나갔다. 그러한 시간의 틈바구니에서 많은 주민이 사는 ‘주거의 시간’이 본격화되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석수동 214번지의 단일한 공간에는 사찰의 시간(고대, 고려, 조선), 오락과 건축의 시간(근현대), 주거와 예술의 시간(현재)이 중첩되었다. 이 공간의 역사성을 복원, 활용, 연구하려면, 안양 지명의 유래인 고려시대 안양사를 중심으로 하되, 건축, 오락, 주거, 예술의 시간을 모두 아울러 복합적인 시간의 층위에서 종합적인 역사성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한국사 연구에서는 ‘시간’ 중심으로 세분화된 연구 경향을 보완하면서, 특정 공간에 대한 시대사 서술을 융합하여 ‘지역사’ 연구의 차원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a single space called 214 Seoksu-dong, Anyang-si, various layers of time are piled up from ancient to modern. First of all, the flagpole supports at Chungch’osa Temple Site with inscriptions show that the “Time of Temple” began in ancient times. Next, King T’aejo of Koryŏ changed this place to Anyangsa Temple and renovated it extensively, and the “Time of Temple” began in earnest. The appearance of Anyangsa Temple during the Koryŏ Dynasty was confirmed by excavation surveys from 2008 to 2011, and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urrounding excavation surveys and Buddhist cultural heritage, Anyangsa Temple is thought to have flourished around 214 Seoksu-dong. After the decline of “Time of Temple” in the late Chosŏn Dynasty, “Time of Entertainment” using the natural scenery of Samseongcheon Stream has come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Even during this period, some modern investigations into the “Time of Temple” were attempted. After liberation, at 214 Seoksu-dong, Yuyu Industrial Anyang Plant was built under the design of architect Kim Chung-up, and a new “Time of Architecture” began. “Time of Architecture” was transformed into a museum in the 2000s through factory relocation, purchase of Anyang-si, and excavation research, and began to actively link with “Time of Temple” On the other hand, “Time of Entertainment” has declined significantly since the 1970s and 1980s, and in the 2000s, Anyang-si reorganized it into Anyang Art Park and opened a new “Time of Art.” In the midst of such a gap in time, the “Time of Residence” where many residents lived was in full swing. As a result, in a single space at 214 Seoksu-dong, the time of temples (Ancient, Koryŏ, and Chosŏn), the time of entertainment and architecture (modern), and the time of residence and art (current) overlapped. In order to restore, utilize, and study the historicity of this spac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Anyangsa Temple in the Koryŏ Dynasty, the origin of Anyang’s geographical name, but to derive comprehensive historicity at a complex level of time, including architecture, entertainment, residence, and art. In Korean history research,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level of “local history” research by fusing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the times for a specific space while supplementing the research trend subdivided around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