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상도와 단린황후 설화를 통해 본 일본 19세기 구상관의 변용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Navasaṃjñā in 19th-century Japan through the Legend of Kusōzu and Empress Danri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4.03
33P 미리보기
구상도와 단린황후 설화를 통해 본 일본 19세기 구상관의 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78권 / 91 ~ 123페이지
    · 저자명 : 김소연

    초록

    부정관(不淨觀)은 신체의 부정이나 사후 부패 및 백골화를 관상(觀想)함으로써 수행자 자신과 타인의 신체에 대한 집착과 육욕(肉慾)을 끊어내는 것을 추구하는 수행법이다. 시신 부패의 아홉 단계를 관상하는 구상관(九相觀)은 부정관을 더 구체화한 것으로, 특히 일본에서 회화와 문학의 주제로 적극 수용되었다. 가마쿠라 시대 이후 구상관은 인도 초기불교 시대부터 이어진 수행법으로서가 아니라, 겐신의 『왕생요집』에서 논하는 정토 신앙과 육도윤회의 맥락에서 재해석되었다. 그리고 구상도(九相圖)는 이러한 재해석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작품이다. 구상도 중 초기 작품인 일본 쇼쥬라이고지(聖衆來迎寺) 소장 인도부정상도(人道不淨相圖)는 일본 구상도 도상의 성립과 시대에 따른 구상관의 변용이라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19세기에 제작된 인도부정상도 모사본과 이를 주제로 한 에토키(繪解き, 그림 구연)의 대본 『육도회상략연기』는 구상관과 구상도에 대한 에도시대의 달라진 해석의 증거이다. 이 자료들은 일반 신도들을 대상으로 한 에토키를 통해 구상도가 종종 역사적 인물인 단린황후의 이야기로 해석되었음을 보여준다. 단린황후의 서사와 결합하면서 구상관의 주체는 출가 수행자나 상류층 여성이 아닌 모든 여성으로 확장되었고, 가치판단의 대상이 아니었던 신체의 부정은 정토왕생을 막는 원죄로 해석되었다. 단린황후의 구상설화(九相說話)는 불교 회화인 구상도 뿐 아니라 일본 토착 신앙인 신토(神道)의 문헌과 시각 자료에도 등장한다. 불교와 신토를 아우르는 넓은 의미의 정토 신앙 안에서 여성 신체에 대한 원죄 의식은 구상도같은 시각 자료와 그 에토키를 통해 퍼져나갔다. 이러한 구상관의 재해석과 변용은 종교와 종파에 관계없이 두루 수용되었던 19세기 일본의 민간 신앙의 일면이었다.

    영어초록

    Asubhabhāvanā involves meditation on the explicit decay and skeletal transformation of the human body after death, with the aim of severing one’s attachment to one’s body and carnal desire for that of others. Navasaṃjñā, which is a detailed form of this practice, was actively adopted in Japanese art and literature. Since the Kamakura period, this practice has been re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Pure Land Buddhism and the cycle of the six realms, as discussed in the Essentials of Rebirth in the Pure Land by Genshin. Many kusōzu works have visualized this reinterpretation. An exemplary piece held at Shojūraigōji in Japan is particularly notable for illustrating the establishment and evolution of navasaṃjñā in Japan over time.
    19-century replicas of this Shojūraigōji painting and its etoki (picture storytelling) scripts, entitled The Brief Origin Story of the Six Realms Paintings, depict an altered interpretation of navasaṃjñā and kusōzu during the Edo period. These materials reveal that kusōzu was frequently explained through the story of Empress Danrin, a historical figure, in the etoki performed for lay believers. As the narrative of Empress Danrin blended with navasaṃjñā, the audience for kusōzu extended to include all women. Additionally, the impurity of the body, which was not originally a subject of moral judgment, was interpreted as an original sin that hindered rebirth in the Pure Land. The fictional legend of Empress Danrin appears not only in Buddhist paintings such as those in the kusōzu tradition, but also in texts and visual materials of the indigenous Japanese Shinto religion.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Pure Land belief, which encompasses Buddhism and Shinto, the notion of women’s bodies as a manifestation of original sin spread through visual materials and their storytelling. This re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of navasaṃjñā were part of popular religious practices in 19th-century Japan, which were widely accepted in multiple relig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