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秘密道次第論』 科段에 나타난 쫑카빠의 밀교사상 (The Perspectives on the History of Esoteric Buddhism by Je Tsong kha pa presented in sNgags rim chen mo)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6.08
26P 미리보기
『秘密道次第論』 科段에 나타난 쫑카빠의 밀교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35호 / 199 ~ 224페이지
    · 저자명 : 정성준

    초록

    14세기 티벳불교 겔룩빠의 교학적 기초를 세운 쫑카빠(Tsong kha pa)는 『보리도차제론』과 『비밀도차제론』의 양 저술을 통해 방대한 인도불교문헌의 수행체계를 간결한 도차제(Lam rim) 형식으로 요약하였다. 대승불교의 수행을 현교와 밀교로 나눈다면 『비밀도차제론』은 밀교에 대한 도차제로서 쫑카빠는 자신의 논리에 대한 근거를 인도불교의 경론과 주석에서 제시하고 있다. 『비밀도차제론』의 구성은 불교에 여러 가지 수행도가 있다는 전언과 더불어 밀교문헌의 분류방식인 부뙨(Bu ston)의 4부딴뜨라 분류에 의해 도차제를 설정하고 있다.
    소작딴뜨라에서 쫑카빠는 인도불교사에서 조직화되지 않은 채 출현한 많은 잡밀계의 인도경전을 佛部․蓮華部․金剛部의 기본구성에 대해 佛, 菩薩尊, 明王, 天人 등의 제존을 배열시켰다. 행딴뜨라에서 쫑카빠는 『大日經』에 대한 붓다구히야의 주석을 인용해 밀교수행을 有相瑜伽와 無相瑜伽의 양 체계로 구성하였는데, 이 분류의 기초는 이후 유가딴뜨라와 무상유가딴뜨라의 밀교교의와 체계분류의 기준이 되었다. 유가딴뜨라에서 쫑카빠는 유상유가의 근거로 5부족의 부족사상을 무상유가의 수행으로 微細瑜伽를 제시한다. 또한 무상유가딴뜨라에서는 生起次第와 究竟次第가 사실상 유상유가와 무상유가에 해당된다. 쫑카빠는 소작딴뜨라로부터 무상유가딴뜨라에 이르는 밀교경전에 대해 그 역사적 유관성을 언급하지만 각 딴뜨라가 가진 한계를 간결하게 제시함으로써 인도밀교의 방대한 수행도를 요약해 티벳불교 수행체계의 확립에 기여하였다.

    영어초록

    Tsongkhapa established the doctrinal foundation of Geluk sect in Tibetan Buddhism by way of writing Lam rim chen mo and sNgags rim chen mo that respectively summarize the practice system of Indian Buddhism which is based on vast scriptures of Indian Buddhism. Tsong kha pa develops his theories by suggesting Buddhist scriptures of Esoteric Buddhism and commentaries of Indian and Tibetan masters. sNgags rim chen mo begins with a declaration that there are many expedients of Buddhist practices which the contents of the work is divided into four classes of Tantras, namely Kriya-tantra, Carya-tantra, Yoga-tantra and Anuttarayoga-tantra.
    In Kriya-tantra Tsong kha pa classified the Tantric scriptures into classes of Buddha, Vajra, Padma, Guardian god, etc and applied and grouped all the scriptures on the basis of classification. In Carya-tantra Tsong kha pa divide the Esoteric Buddhism into Yoga with Signs and Yoga without Signs. The yoga of former one is to accomplish the Buddha's outer source of body and virtual activities and the latter one is to practice emptiness and Dharmakāya of Nirvana. Yoga-tantra system is considered as a successor of Carya-tantra but Yoga-tantra system adopted the Yogacara practices of Mahayāna Buddhism to change the consciousness of lay people to the wisdom of Buddhas.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Yoga-tantra system especially develops a theories and practices of accomplishing physical body of Buddhda [Nirmaṇa-kāya] which were developed to the Generation Stage and Completion Stage of Anuttarayoga-tantra system of later age of Esoteric Buddhism. Tsong kha pa knew that all the ages of Esoteric Buddhism had concerns with the accomplishment of Nirmaṇakāya to adopted the practice of breath and life but presented his idea that the practices of achieving Saṃbhoka-kāya and Nirmaṇakāya is possible only in the practices of Anuttarayoga-tantra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