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開化期 서울畵壇의 後援과 繪畵 活動 硏究 (Art Patronage and Painting Activities in Seoul Painting Circles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09.09
35P 미리보기
開化期 서울畵壇의 後援과 繪畵 活動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3권 / 263호 / 139 ~ 173페이지
    · 저자명 : 김취정

    초록

    開化期는 19세기 후반기에서 20세기 전반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이시기 개혁의 움직임은 정치와 사회, 경제 부문뿐만 아니라 문화 부문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미술계는 그 이전 시기 화단의 상황과는 다른 양상을 띠며 전개된다. 즉 개화기 화단에서는 서화의 향유 및 후원층이 저변화 되고 서화 유통에 있어서 근대적 의미의 서화 유통 공간이 형성되고 성행하게 된다. 또한 회화 양식에 있어서도 저변화 된 서화 향수층의 취향과 미감이 적극적으로 반영된다.
    廣通橋 一帶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서화 유통 공간은 점차 서울 지역 전역으로 확장되어 가며, 평양, 대구, 군산 등지의 지방으로 확산된다. 이러한 서화의 유통 경로 확산과 예술 문화 향유의 저변화는 서화의 상품화를 더욱 더 가속화시키며 서울 지역 화단에서 활약하던 화가들이 제작한 작품의 회화적 특징이 이 시기 유행 양식으로 작용하게 한다. 특히 광통교 일대는 朝鮮末期와 近代期의 화단을 이끌었던 張承業(1843-1897)의 본거지이자 그와 교유하던 丁學敎(1832-1914), 金瑛(1837-?), 安中植(1861-1919), 趙錫晋(1853-1920) 등의 주요 활동 무대였다. 이들의 후원자는 50여 명에 이르며 개화기 화단의 유력 후원자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개화기 서울화단의 화가와 후원자의 면모를 밝혔고, 후원자의 서화 수요 양상 연구를 통해 당대에 제작되고 유행하였던 畵目 및 畵風의 형성 연유, 즉 기명절지화의 형성과 성행, 실경산수화의 제작, 장승업이 유난히 많이 제작하였던 倣作, 四王畵風 산수화의 수요, 雜畵屛의 형성과 유행에 대한 윤곽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개화기 서울화단의 회화 활동, 즉 서화의 제작과 후원, 유통을 함께 고찰함으로써 개화기 화단 형성의 이면에 있었던 서화 후원의 역사와 유통의 역사를 밝히고 이를 통해 입체적으로 개화기 서화계의 상황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e reform movements in Joseon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lasting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had a profound impact on many aspects of this society, from political and social to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Major changes were noted in the painting circles of Joseon as well. The audience for paintings and calligraphy gained in breadth and depth, and a modern-style painting and calligraphies market for these arts emerged.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also echoed and more actively incorporated new stylistic elements, which we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among increasing art lovers.

    Painting and calligraphies stores dealing in paintings and calligraphy, initially concentrated in the neighborhood of the Gwangtonggyo Bridge, gradually spread across Seoul, and eventually to other major cities such as Pyeongyang, Daegu and Gunsan. Paintings and calligraphy rapidly became prized commodities, thanks to the expanding market for their distribution and their enthusiastic reception by art collectors. The painting styles of Seoul-based artists, meanwhile, emerged as the dominant painting styles of the epoch. The Gwangtonggyo neighborhood was notably the base of Jang Seung-eop (1843-1897), who dominated the art scene of Joseon at that time, and other artists in his coterie such as Jeong Hak-gyo (1832-1914), Kim Yeong (1837-?), An Jung-sik (1861-1919) and Jo Seok-jin (1853-1920). These painters benefited from some 50 patrons of the arts, which included almost all of the most influential sponsors of Joseon painting and calligraphies circles of that time.

    In this paper, I discuss key members of Seoul Painting Circles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and their patrons, and identify the types and styles of paintings that were popular at that time by analyzing the demands among the patrons, looking also at the general historical background. Concretely, I discuss the emergence and popularization of the genre “gimyeong jeoljihwa,” having vessels and flowers as their main subjects, the production of true-view landscapes, reproductions of ancient paintings – accounting for many of the works by Jang Seung-eup –, the popularity of the so-called Four Wang-style landscapes and the formation and popularization of “japhwabyong,”, decorating folding screens with various types and genres of paintings.

    By examining activities in Seoul’s Painting Circles, along with patronage activities and the status of art distribution, this study establishes the history of art sponsorship and distribution in Joseon during the Period of Modernization and casts concrete light on the Joseon art scene of this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