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배구자악극단 초창기 공연의 ‘조선적 정조’에 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Korean Mood of Baegujaakgeukdan Performances in the Early Peri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9.06
32P 미리보기
배구자악극단 초창기 공연의 ‘조선적 정조’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극예술연구 / 64호 / 89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동현

    초록

    이 글은 배구자악극단의 초창기 공연이 추구했던 ‘조선적 정조’를 바탕으로 배구자악극단 창단공연의 성공과 이후 일본으로의 후퇴를 논한다. 텐카츠이치자시절 배구자는 조선인들에게 ‘텐카츠이치자를 대표하는 배우’로 인식되었지만, 이는 그녀가 조선인을 상대로 공연을 하면서 획득한 결과물이 아니었다. 텐카츠이치자와 이를 후원하는 『매일신보』의 이해관계 아래 조선출신의 배구자를 중심으로 텐카츠이치자 조선순회 공연을 광고한 결과이다. 텐카츠이치자 탈퇴 이후 배구자는 재기를 계획하는데, 이때 그녀는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예술’로서 발견한 조선무용을 주목한다. 조선적 정조를 바탕으로 하는 조선무용을 토대로 텐카츠이치자의 그림자에서 벗어나 차별화를 꾀하고자 한 것이다.
    1929년 배구자악극단은 조선적 정조와 조선예술의 시대적 부흥을 표방하며 창단공연을 가졌다. 배구자악극단은 조선박람회기간을 활용하여 창단공연을 계획하였고, 이를 토대로 조선뿐만 아니라 만주, 일본의 순회공연을 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이 창단공연은 ‘조선 없는 조선박람회’의 상황과 맞물리면서 조선 관객들의 폭발적인 성원을 얻었다. 이는 그들이 내세웠던 조선적 정조가 ‘차별화’ 이상으로 구체적인 실체가 존재하지 않아서 관객의 적극적인 의미 부여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조선의 관객들은 배구자악극단의 공연을 ‘괴로운 조선의 마음’을 표현하는 조선의 예술로 받아들였고, 향후 행보를 기대하였다.
    하지만 배구자악극단은 조선인뿐만 아니라 일본인까지 관객으로 상정하고 있었기에 이후 그들의 공연은 조선 관객이 기대했던 바와 거리가 멀었다. 그 결과 광주학생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상황 속에서 배구자악극단의 조선적 정조는 대항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고, 조선 관객들의 실망과 분노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배구자악극단은 조선에서의 공연을 상당기간 중단하고, 일본 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he success of Baegujaakgeukdan(Baeguja's Musical Theater)'s Performances in the Early Period and the subsequent retreat to Japan, based on the ‘Korean Mood’ pursued by them. When Bae Guja belonged to Tenkatsuichija, She was known as the actress like symbol of the Japanese theater. This image wasn't result of her performance. It was made with an advertising strategy aimed at Koreans by Tenkatsuichija and Maeilsinbo. During the restoration of her korean identity after leaving the troupe, she find Korean Traditional Dance as an Art. At that tiem, she planed a comeback stage based on the dance with Korean Mood, to break out of the existing image.
    In 1929 Josun EXPO, Baegujaakgeukdan established by her had the first performance. She set out the slogan of Korean Mood and Korean artistic revival for her musical theater Korean. In the context of the EXPO which is Korean Exposition without Korea, the show was a great success for Koreans, and the troupe was regard as Korean artistic theater. The theater's slogan, Korean Mood was nothing more than a distinction from others, and therefore, it was possible that the Korean audience positively interpreted the performance as a resistance against ‘things korean’ by Japanese resident in the Colonial Korea.
    Aiming to perform for not only Korean but also Japanese, however, Baegujaakgeukdan couldn't meet the expectations of Korean. In the situation of Gwangju Haksaengoondong(Gwangju Student Movement), The expectation of Korean audiences about the theater changed to disappointment and anger. Eventually, the troupe discontinued their activities in korea and resumed in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