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후반의 彫刻僧 端應의 불상 연구 (A Study of the Buddhist Statues by a Monk Sculptor Daneung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3.06
32P 미리보기
17세기 후반의 彫刻僧 端應의 불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8권 / 278호 / 163 ~ 194페이지
    · 저자명 : 이민형

    초록

    端應은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영향력을 행사했던 彫刻僧이다. 그는 1656년에 조각승 無染이 주도한 완주 송광사 나한전 佛事에 보조화원으로 참여하며 불상 제작 기술을 익혔다. 이후 단응은 1684년에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과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을 제작하였다. 기년명 불상은 제천 정방사 목조관음보살좌상(1689), 안동 봉황사 석가여래삼불좌상(1692), 하동 쌍계사 사천왕상(1705) 등이 남아있다.
    단응의 계보는 조각승 卓密, 琢璘, 그리고 正幸 등으로 이어진다. 탁밀이 1687년에 제작한 영월 보덕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에서는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의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탁린은 1716년에 양구 심곡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을 제작하여 단응의 계보를 잇고 있다. 정행은 1730년에 제천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736년에 제천 백련사의 아미타여래좌상을 제작하였다.
    단응의 불상은 신체비례, 얼굴 표현, 배와 다리의 옷주름, 보살상의 장식성 등에서 특징이 강하게 나타난다. 단응의 불상은 얼굴이 작고 허리가 긴 편이다. 불상은 평면적인 얼굴에 매부리코이며 배에서 늘어지는 W형의 옷주름과 하반신을 덮은 대의가 좌우로 갈라져 균일하게 펼쳐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보살상은 화려한 보관의 장식과 지물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불상 양식은 무염이 1656년에 제작한 완주 송광사 나한전의 불상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 매부리코, 이중의 턱 표현, 다리를 덮고 균일하게 펼쳐지는 둥근 대의자락이 공통적인 특징이다. 무염의 불상은 눈두덩과 볼, 그리고 신체의 양감이 두드러진다. 이에 비해 단응의 불상은 얼굴이 작고 길쭉한 신체에 양감이 줄어들어 서로 다른 조형 감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응은 전라도 출신으로 17세기 후반에 경상북도 지역으로 진출하게 된다. 단응이 출신지역을 벗어나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었던 것은 昭影堂 神鏡大師과 宗現의 역할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신경과 종현의 활동지역은 경상북도 지역이 주요 거점지였으며 그 외 강원도, 충청북도 까지 활동영역을 넓혔다. 이 지역은 단응과 그의 영향을 받은 조각승의 활동 지역과 일치하여 실제적인 후원자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반까지 경상북도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최근 1675년에 조성된 것이 밝혀지면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의 선행된 예임이 확인되었다. 대승사 상은 宗現이 證明을 맡았고, 조각 수법에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과 유사하다. 이 밖에도 단응 계열로 추정되는 다른 작품으로는 경국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과 남장사 보광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이 있다.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형태의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이 등장하는 배경에는 이를 제작하기를 발원하였던 신경과 종현의 역할이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불화를 불상으로 번안할 수 있었던 단응의 역량으로 인해 제작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Daneung(端應) is a monk sculptor who flourished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in Gyeongsangbuk-do. In 1656, he participated in the project of building the Nahanjeon Hall in Songgwangsa Temple(松廣寺), Wanju, which was led by another monk sculptor Muyeom(無 染). The experience and others gave him an opportunity in 1684 to make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and the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of Yongmunsa Temple(龍 門寺) in Yecheon. His other works whose dates of production are known include the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Jeongbangsa Temple(淨芳寺) in Jecheon (1689), the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of Bonghwangsa Temple(鳳凰寺) in Andong (1692), and the Four Guardian Kings of Ssanggyesa Temple(雙溪寺), Hadong (1705). The Buddha images carved by Daneung are marked by a small, comparatively flat face with hooked nose, long waist, W-shaped robe folds at the front part of the upper body, and a robe draped down to cover the entire lower body before parting evenly into two parts. As for bodhisattvas, bejewelled crowns they wear and symbolic objects they hold in their hand are highlighted.
    These characteristic features were handed down to a younger generation of monk sculptors such as Takmil(卓密), Takrin(琢璘), and Jeonghaeng(正幸).While Daneung was a monk of Wibongsa Temple(威鳳寺) in Wanju, Jeollabuk-do, he as a sculptor was more active in the area of Gyeongsangbuk-do probably thanks to the support from Soyeong Singyeong(昭影神鏡) and Jonghyeon(宗現). The two supporters were based in Gyeongsangbuk-do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Daneung's projects as his witnesses and patrons. The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1675) enshrined in Daeseungsa Temple(大乘寺), for instance, was witnessed by Jonghyeon. Similar techniques were used to make the Wooden Amitabha Buddha Altarpiece enshrined in Gyeongguksa(慶國寺) and Namjangsa Temples(南長寺), showing that they were made under the influence of Daneu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