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기 남방(南方)의 대두와 대만 가단(歌壇) ― 단카 잡지 『대만(臺灣)』의 「남방 단카 특집호」를 중심으로 ― (Rise of Southward during the Colonial Era and Taiwanese Tanka gathering: Focused on「The Special Issue of Southward Tanka」of『Taiwa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7.11
18P 미리보기
식민지기 남방(南方)의 대두와 대만 가단(歌壇) ― 단카 잡지 『대만(臺灣)』의 「남방 단카 특집호」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13호 / 105 ~ 122페이지
    · 저자명 : 김보현

    초록

    식민지기 외지(外地)에서 이루어진 단카에 관하여서는 각국 단위의 연구를 통해 그 전모가 밝혀졌다. 특히 단카에서 로컬컬러(지방색)에 관한 탐색은 식민지기 외지 가단만의 특색으로 한반도의 경우 단카 잡지의 특집호나 가집의 분석을 통해 1930년대 집중적으로 탐색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한편 대만의 경우는 한반도에서 로컬컬러가 약해져 가는 1940년대 『대만』에서 ‘남방단카’라는 신조어와 함께 로컬컬러가 강조되고 이에 대한 모색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역상황을 보이고 있었다. 본고는 동시기 한반도와 대만 가단이 로컬컬러와 관련하여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음에 주목하여 『대만』의 「남방단카 특집호」의 평론과 ‘남방단카’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남방단카는 좁게는 대만단카를 가리키고 있었으나, 이는 대만을 넘어 남방으로까지 확대되어갔던 제국의 영토 개념과 관련한 것으로 당시의 시국이 만들어낸 조어에 다름 아니었다. 한편 특집호의 평론들은 ‘남방단카’의 방향성을 모색한 것으로 이전까지 단편적으로 그쳤던 대만가단의 로컬컬러에 대한 진지한 탐구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이미 시국의 영향을 피해갈 수 없었던 가단에서도 로컬컬러는 순수성을 잃고 ‘남방단카’라는 제국의 심상지리 속에서 논의되는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oint that Japanese poetry genre, such as Haiku, Tanka, was prosperous in Japan’s former overseas territories during the colonial era was determined by the research that was performed in several regions since 2000. Particularly, among them, Haiku gathering and Tanka gathering were established in Taiwan, the earliest in all ‘Japan’s former overseas territories. The number Haiku and Tanka collections published during the colonial era was 12 and 38, respectively. Among them,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the local color which was discussed in the Tanka magazines 『Taiwan』 that were published between April, 1940 and February 1945. Discussion on ‘local color’ collectively the overall Taiwanese Tanka gathering, stopped at a sporadic state mainly with each magazine until the appearance of 『Taiwan』.
    Therefore, during the 1940s, a suggestion to recite Tanka reflected with Taiwanese specialty appeared, insisting on ‘southward Tanka’ along with the real change of the status of the south. This way, ‘southward Tanka’ was converted into a slogan in the extended territory of the empire, on the other hand, the search direction of ‘southward Tanka’ and problem were given serious consideration. Nevertheless, the discussion on the regionalism of Tanka formed late under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the nation in 1942 and disappeared without producing a result. That was a retrogression against the situation of the Tanka gathering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local color disappeared during the same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