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SNS시대 짧은 시 대안으로서 단시조 (Shot Sijo as a Short Poem Alternativ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9.12
21P 미리보기
SNS시대 짧은 시 대안으로서 단시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83호 / 235 ~ 255페이지
    · 저자명 : 이송희

    초록

    이 글은 SNS시대 짧은 시 대안으로서 단시조의 가능성을 트위터 양식의 활용을 제안하며 살펴보았다. 필자는 독자로 하여금 시조의 특수성을 경험하게 할뿐만 아니라 시조의 대중화를 위한 영상 글쓰기로 확장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흥미로운 관찰의 지점들을 확보하고 있는 트위터의 속성은 최소의 글자 수로 독자들과의 소통과 공감을 이끌수 있는 미디어 매체로서 단시조의 속성과 닮았다. 140자라는 발신 정보량의 제한과 문학 유통 구조의 변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트위터의 특징은 파급효과가크다는 장점이 있다. 시조의 기본형인 단시조는 3⋅4조의 운율로 전체 글자 수가 대략 43∼45자가 된다는 점에서 전달력이 높다. 무조건 글자 수에 맞춘다고단시조가 될 수는 없다. 절제된 언어의 미학에서 비롯되는 단시조의 특징은 자수를 맞추기 위해 띄어쓰기를 무시하거나 줄임말을 쓰고 있는 하상욱 류의 경향과는 차별화되는 대안이라 할 수 있다.
    글자 수의 제한은 의사 전달의 함축을 강제하고, 다른 한편 사진과 영상 매체가 동원될 수 있는 여지를 둔다는 점에 주목하여 사례를 제시하였다. 단시조의활용 가능성을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한 멀티포엠과 영상 글쓰기로 진행하는 사례는 디지털 시대에 부응하는 글쓰기 교육 현장에서도 활용가능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이를 트위터 글쓰기에 적극 활용한다면 최소의 형상화로 최대의 심미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SNS라고 하는 익숙한 매체의 활용과 디지털카메라(핸드폰)의 사용으로 문학적 글쓰기와 디지털 글쓰기라는 두 가지 효과를극대화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SNS 문학이라는 개념이 정립되고 이와 함께 디카 시론에 대한 다학제적관점의 연구가 지속되면서 문학연구와 글쓰기 연구의 패러다임이 형성되는 지점에 이 글이 바탕이 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erhaps, you mean “short sijo?” Please check and revise.shot sijo as an alternative to short poems, in the line with SNSand Twitter style writing. This allows the reader to experience sijo’s particularity. Moreover, it can be extended to visual writing popularizsijo. Twitter, which encourages substantial points of observation compared to other network services, resembles shot sijo as a medium that can communicat and empathize with readers within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This has been revised to enhance the contextual clarity and logic.Twitter has a ripple effect because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literature by limiting the amount of outgoing information to 140 charactersShot sijo, which is the basic sijo, is effective in that the total number of letters is about 43∼45 characters with 3/4 trillion rhymes.
    Sijo cannot be written by unconditionally adjusting the number of letters. Shot sijo originated from the aesthetics of restrained language, and it is an alternative to Ha Sang-wook’s tendency to ignore or abbreviate spacing to match embroidery.
    Restrictions on the number of characters strengthen the implications of communication. If you are referring to a case study then consider the following revision, for clarity: “A case study is conducted which suggests the mobilization of sijo in…media.” The case is given that suggests the mobilization of sijo in photographic and video media.. The inclusion of shot sijo in digitaland video writing suggests that it can also be used for digital education purposes. If you actively use this writing style in Twitter, you can get optimum aesthetic effect with minimum shaping. The use of SNS, a familiar medium, and digital camera (cell phone) This may be a bit confusing for your readers. For clarity, you may revise this as: “show that maximizing the effects of literary and digital writing is possible with the correct amount of motivation.”make sense of research in that it is easy to motivate to maximize two effects, literary writing and digital writing.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 of SNS literature will be established and the paradigm of literary and Perhaps, you mean “digital writing?”writing research will be formed as the study of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on Please clarify this word so that I can help you in revising the sentence accordingly. dicysiron contin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