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초 안동지역 사회의 재편과 서애학단의 활동 (Seoae School Ties(西厓學團) and Situation of Andong Local Community in the early 17th centu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6.12
31P 미리보기
17세기 초 안동지역 사회의 재편과 서애학단의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31호 / 155 ~ 185페이지
    · 저자명 : 김형수

    초록

    류성룡과 그 문인들이 활동하였던 시기는 조선사회에서 ‘士族支配體制’가 강고해지던 시기였다. 안동지역의 경우 사족지배체제가 일찍부터 형성된 지역이기는 하지만, 임진왜란 이후 이들 사족지배체제는 전쟁의 극복이라는 과제를 달성함으로 인하여 그들의 주도권은 확고해졌다.
    류성룡은 퇴계 이황의 고제로 안동지역의 퇴계문인을 대표하는 인물인 동시에 남북분당 이후 남인세력을 이끌었던 남인의 영수로 활동하였다. 그의 정치적 영향력은 안동권과 상주권을 중심으로 상당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류성룡과 그의 문인들은 안동지역에서 절대적인 지도력을 발휘할 수 없었다. 인근의 예안지역에서 같은 퇴계문하의 장로로 조목이 강력한 지도력을 장악하고 있었음에 비해 류성룡은 오랜 관직생활로 인하여 향촌에서 영향력은 그다지 강하지 못했던 것이다.
    하지만 전쟁으로 인한 각종 문제는 지역사회의 새로운 재편을 요구하고 있었다. 류성룡은 자신의 학문적 권위를 이용하여 안동지역의 각종 현안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었다. 류성룡은 현실과 실무를 중시하는 학문적 경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관념적인 논의보다는 체험과 실천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안동지역의 서애문인들은 주로 향촌에 기반을 둔 재지세력으로 대표적인 문인으로는 김봉조, 김윤안, 장흥효, 권기 등 지역에서 활동을 전개한 인물들이었으며, 상주지역의 문인들이 주로 중앙 정계에서 활동한 인물이었음에 반해 안동지역의 문인들을 재지적 성향을 띠고 있었다. 류성룡은 이러한 재지제자들과 협력하여 각종의 전후 복구사업을 추진하였다. 류성룡은 임란 이전부터 시행되고 있었던 향규의 정비를 시도하였다. 류성룡은 향약을 제정하여 사족이 주체가 되는 예교 중심의 사회를 구상하였다. 류성룡은 여강서원의 재건문제에도 깊이 관심을 기울였다. 이후 김봉조를 비롯한 안동지역 류성룡 문인들은 류성룡의 학문적 권위를 세우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이와 같은 류성룡과 류성룡의 문인들의 활동은 퇴계학맥 내에서 그들의 학문적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한 노력인 동시에 임진왜란이라고 하는 미증유의 전란을 겪고 난 후 그들이 제시한 향촌 재건책이기도 했다. 이들은 서원과 향약이라는 두 가지 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를 재건하고자 시도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Ryu Seongyong(柳成龍) and his scholars had worked actively during the period of ruling system of Sajok(士族) in the Joseon Dynasty. The ruling system of Sajok was established early in Andong ares. Moreover, the ruling system set up firmly their initiative as accomplishing a political task of overcome of war.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how ‘the ruling system of Sajok’ was consolidated in the 16th century through overcoming the aftereffects of war.
    Ryu Seongyong, an eminent disciple of Lee Hwang, was a figurehead of Toegye school in Andong areas. He also activated as a leader of Nam Party after Nam and Buk party had been divided. His political influence was established strongly in Andong and Sangju areas. However, Ryu Seongyong and his scholars could not exert their absolute power in Andong areas. Jo Mog(趙穆) who took hold leadership in Yean areas as an elder under Togye school, while Ryu Seongyong did not exert a strong power because of holing official position for a long time.
    However, various problems which had caused from the war required a new reorganization of local community. Ryu Seongyong was involved actively in every pending issue of Andong community with using his academic authority. Ryu had academic orientation focused on reality and practice, which aimed for empirical experience and practice rather than ideological debates. Scholars of Seoae literary circle in Andong areas were local gentries who had been based on local community, and leading scholars of the circle were Kim Bongjo(金奉祖), Kim Yunan(金允安), Jang Heunghyo(張興孝), and Gueon Ki(權紀). Scholars in Sangju areas worked in central political circles, while scholars in Andong areas had local propensity. Ryu Seongyong pushed ahead with the restoration project of postwar with local gentries.
    Ryu attempted the reorganization of Hyanggyu(鄕規) which had been enforced before Japanese invasion of Korea. Ryu conceived of Enlightment for civility(禮敎) and local gentries centered society through establishing Hyangyak(鄕約). Additionally, Ryu had a keen interest in reconstruction of Yeogang Seowon(廬江書院). Since then, scholars of Seoae School Ties(西厓學團) including Kim Bongjo devoted themselves entirely to set up academic authority in Andong areas.
    These activities of Ryu and his circle was not only the efforts to establish their academic position but also the process to reorganize local community after an unexampled war in the history of this dynast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conclusion, Seoae School Ties had attempted to reestablish the Andong local community as using two central axises, Seowon and Hyangy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