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長白地域 독립운동단체의 활동과 성격 -大韓獨立軍備團과 光正團의 활동을 중심으로- (The activity and personality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parties of Changbai Prefecture(長白縣) in China - Around the activity of Korean Independence Armament corps(大韓獨立軍備團) and Gwangjung corps(光正團))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08.12
35P 미리보기
중국 長白地域 독립운동단체의 활동과 성격 -大韓獨立軍備團과 光正團의 활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92호 / 105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주용

    초록

    오늘날 장백조선족자치현은 중국의 유일한 조선족자치현이다. 이곳은 산세가 험준하고 압록강을 끼고 있으며, 북으로는 무송과 맞닿아 있고 남으로는 북한의 혜산진과 마주하고 있다. 오늘날에도 2만여 명의 조선족이 중국 공민으로 살아가고 있다. 이곳 장백현에는 1910년 경술국치 이후 한인이주자가 급증하면서 독립군 근거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대한독립군비단은 1919년 3ㆍ1운동 직후 장백현에서 조직되었다. 대한독립군비단 활동의 특징은 무장투쟁에 있었다. 1920년대 초 남만지역의 한인독립운동단체가 표방한 독립운동방략은 무장항일투쟁이었다. 대한독립군비단의 설립 초기부터 강력한 무장투쟁을 통한 군자금 모금 활동에 전념하였다. 특히 1919년 9월 12일 책임자대회를 통해 군자금모금 문제를 구체화하였다. 1921년 3월부터 이듬해 9월까지 크고 작은 전투가 무려 10여 차례 진행되었다. 군자금 모금 및 인적자원 수급에 중점을 두었던 군비단은 독립운동의 내외적 환경이 변화하면서 새로운 단체로 통합되었다.
    1921년 6월 1일 장백현 16道溝 新昌洞에서 軍備團, 光復團, 興業團 주요 임원 20 여명이 회동하여 연합회를 개최하였으며, 흥업단 지단장 金昌一을 임시 회장으로 추대하였다. 이처럼 군비단은 한차원 높은 단계의 투쟁방략을 통해 광정단으로 자연스럽게 해소 발전하였다.
    광정단의 정식 명칭은 大韓獨立光正團이다. 본부는 대한독립군비단이 있었던 장백현 17도구이다. 광정단의 초기 주요 임원은 尹德甫, 韓雲燮, 姜宇鍵, 李泰杰, 李秉律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대부분 대한독립군비단에서 활동했던 주요 인물이기도 하다.
    광정단은 군비단의 조직을 그대로 승계하였기 때문에 활동 또한 군비단과 비슷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먼저 광정단은 국내 무장 침투 계획을 세워 일반인들에게 독립운동의 실체를 선전하고자 하였다. 군자금 모집은 여러 형태로 전개되었다. 광정단은 군자금 모집 활동뿐만 아니라 무송 등에서 학교설립도 적극 추진하였다. 백산무관학교가 대표적이다.
    이상으로 군비단과 광정단의 성립과 활동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한독립군비단의 탄생과 관련된 부분이다. 기존연구에서 대한독립군비단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지시로 조직된 단체라고 파악하였지만, 그 정확한 사실에 대해서는 판단하기에 무리가 따른다. 무엇보다도 장백현에는 1913년 한교동사회가 조직되었으며, 이 단체의 주축이 후일 대한독립군비단의 주요 구성원이었음을 감안할 때 이미 1910년대 전반에 단체 성립의 기운이 무르익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누구의 지시에 의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다소 무리가 따르지만 李東輝가 아니었는가 짐작된다.
    둘째 연해주지역으로의 군대 파견이다. 1920년 일본군대의 간도침략 및 러시아 연해주지역 침략은 한인독립운동가들에게는 위기이자 기회였다. 특히 연해주는 러시아 적군파와 백군파의 내전 분위기였으며, 한인들은 러시아 혁명의 기운을 이용하여 독립을 쟁취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대규모의 군인 파견이 이루어진 것이다.
    요컨대 대한독립군비단의 경우 조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광정단으로 거듭났으며, 지역적 한계를 명확하게 인지하고 연해주지역으로 활동범위를 확장하였다. 이는 1910년대 이미 연계된 독립운동의 토대를 활용한 결과였으며, 광정단은 군비단의 인적자원을 통해 한층 성숙된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한 것이었다. 단체의 해소와 새로운 단체로의 승화는 고통과 인내 속에서 각 단체 및 인원들의 이념과 행동방략을 통합시키려는 독립운동가들의 작품 만들기의 상징이었으며, 이는 독립운동의 상승적 결과를 낳게 되었다.

    영어초록

    As only Korean Autonomous Prefecture(延邊朝鮮族自治縣), Changbai Prefecture(長白縣) have rugged mountains and Ap-lok river(鴨綠江). The present, Changbai Prefecture is situated on the north of Wu-song Prefecture(撫松縣), on the south of Hyesanjin(惠山鎭) of North Korea. Since national ruin of 1910, The Korean emigrants increased suddenly in Changbai Prefecture.
    Korean Independence Armament corps(大韓獨立軍備團) was Organized in Changbai Prefecture after 3ㆍ1 movement, 1919. From early establishment, Korean Independence Armament corps be absorbed in war funds draft throughout strong armament fighting. especialy, The responsible person grandmeeting of 12 Sep, 1919 was concretized war funds draft problem. Since March, 1921 to Sep, 1922, large and small battle came about 10times.
    Korean Independence Armament corps was unified new party with changes of the inside and outside circumstance. 20members of Korean Independence Armament corps, Gwangbok corps(光復團), Heungup corps(興業團) assembled in Shinchang Village(新昌洞), 16daogou(16道溝), Changbai Prefecture at 1 July, 1921. As the leader of Heungup corps Chang-il, Kim was elected for temporary chairman. Thus, Korean Independence Armament corps was dissolved and developed to Gwangjung corps(光正團) throughout struggle policy of high level.
    The formality name of Gwangjung corps was Korean Independence Gwangjung corps(大韓獨立光正團). The headquarters was located in 17daogou(17道溝), Changbai Prefecture. The early important officers of Gwangjung corps were Duk-bo, Yoon(尹德甫), Woon-sub, Han(韓雲燮), Woo-gun, Kang(姜宇鍵), Tae-gul, Lee(李泰杰), Byung-ryool, Lee(李秉律). They were most of important officers in Korean Independence Armament corps. Gwangjung corps succeed to structure of Korean Independence Armament corps. Because the activity of Gwangjung corps was similar to Korean Independence Armament corps's.
    First, Gwangjung corps planned militarized infiltration to the interior of a country. As well, war funds draft was spread out to variety. Gwangjung corps propelled not only war funds draft but also school establishment in Wu-sung Prefecture. Baeksan military school(白山武官學校) was mportant.
    Already, establishment of Gwangjung corps was preengaged in the first half of 1910s. Also, the Jiandao(間島) & the Maritime Province(沿海州) invasion of Japanese military in 1920 was the crisis or opportunity about Korean Independence patriot.
    The disorganization and sublimation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parties was 'making masterpiece' of Korean Independence patriot what unification of parties's the principle and practice. As a result,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was risen 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