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先農壇과 先蠶壇의 실제 형태 고찰 (Examination of the Seon'nong-dan(先農壇) and Seon'jam-dan(先蠶壇) Altars of the Joseon dynasty)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2.12
48P 미리보기
조선시대 先農壇과 先蠶壇의 실제 형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63호 / 41 ~ 88페이지
    · 저자명 : 장지연

    초록

    이 논문에서는 조선 시기 길례 중사단 중 선농단과 선잠단의 제도가 형성된 과정을 추적하고, 일제 시기 촬영된 사진들과 조사서 등을 통하여 실제 형태를 규명하였다.
    그간 제단 규정은 태종대 후반 대․중․소사의 큰 틀이 정해지고 세종대의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완성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살펴본 결과, 초기에는 사직단 이외의 단들을 크기 강쇄를 통해 대중소의 등급을 반영하려는 계획이 없었다가 태종대 후반 諸祀儀式을 작성하며 체계가 잡혔다. 기존의 이해와는 달리 태종대 제사의식에서 이미 『世宗實錄』 오례의와 거의 비슷한 정도였음을 확인할 수 있어서, 적어도 吉禮의 체제는 태종대 후반에 이미 완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선농단과 선잠단은 중사단으로 규정되었지만 제대로된 규식대로 조성되지 못하였다. 단유의 제도면에서는 단유의 입지 및 크기와 높이, 석축 단 축조, 一壝에서 兩壝로의 전환 등이 문제였으며, 관리의 측면에서는 재실과 창고 등을 두는 것이 문제였다. 이는 세종대부터 성종대까지 내내 지적되었으며 수정, 보완하라는 조처가 계속 내려졌고 실록의 기록만 따라서 보면 적어도 문종대-성종대 사이에는 이러한 조처가 완수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제 시기 촬영된 사진들과 조사서 등을 바탕으로 추정해본 결과, 이들 단은 여전히 초기 만들어진 상태에서 크게 변화하지 못했다. 선농단의 경우 一壝에서 兩壝로 만들라는 조처는 수행되었지만 사직단의 壝처럼 정연하게 조성되지 못하였다. 전례서의 壇壝 치수는 모두 영조척에 기준하여 단의 너비는 2장 3척, 높이는 2척 7촌, 유의 너비는 25보로 하도록 되어 있지만 선농단 사진 분석을 통해 볼 때에는 모두 기준에 부합하지 않게 작았다.
    선잠단의 경우도 단유의 크기가 모두 전례서 기준에 전혀 부합하지 않았으며 선농단보다도 훨씬 작았다. 흥미로운 점은 단의 크기가 정확히는 아니더라도 태종 14년의 안과 상당히 비슷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실물 사진을 통해서, 실록에서 여러 차례 지적된 대로 부지가 경사지고 협착하여 입지가 매우 좋지 않았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단과 입지가 문제가 있다는 점이 내내 지적되고 수정 조처가 내려졌으나 실제로는 전혀 실행되지 못한 것이다. 다만 단의 경우는 석축으로 되어 있어서 봉토에서 석축으로 바꾸라는 조처는 어느 시점에 완수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선농단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볼 때, 선농단과 선잠단은 중사단의 규정에 그다지 부합하지 못하였고 특히 선잠단은 초창 당시의 문제점이 거의 해결되지 못한 채 전례서의 규정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 상태 그대로 조선 전 시기 동안 유지되었다. 이는 국가의 현실적 제약을 잘 보여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제단 정비나 수축이 생각보다는 우선 순위를 갖지 못했던 것이 아닌가 라는 의문을 품게 된다. 또한 현실태와 典禮書 속의 이상태의 괴리에 대해 조선인들이 어떻게 생각하였는가 라는 새로운 의문을 갖게 한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study is how the Seon'nong-dan/先農壇 and Seon'jam-dan/先蠶壇 altars were cr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s "Middle Service Altars"("Jung'sa-dan, 中祀壇")' for the "Auspicious Occasions"("Gil'rye, 吉禮"). Photographs and survey reports taken or fil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re analyzed here as well,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se altars were created to conform to officially designated standards.
    Preliminary regulations for Joseon altars, meant for either Grand, Middle or Miscellaneous services, are generally believed to have been established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King Taejong's reign, and they are also believed to have been 'finalized,' through detailed discussions that continued in King Sejong's reig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Joseon's early days reveals that there was indeed no plan to artificially modulate the size of the individual altars (other than the Sajik-dan altar) to fit them with the Grand, Middle or Miscellaneous service system. But then, during the latter half of Taejong's reign, 'Ceremonial rules for Memorial services(諸祀儀式)' were established, and the rules established here were not that much different from the rules which were inserted in the "Five Rites"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s reign(世宗實錄, "Annals" from now on)』. We can see at least the "Auspicious Services(吉禮)" were finalized in Taejong's reign.
    Seon'nong-dan and Seon'jam-dan altars were defined as "Middle Service Altars," but they seem to have never been created to correspond with specified standards. In terms of the "Dan'yu(壇壝)" platforms, there were several issues concerning the position of the altars, size and height of the altar, and discussions about how to create a stonework or whether or not to turn the single fence('一壝') into a double one('兩壝'). And in terms of management, whether or not to create a service chamber and a warehouse for the altars, had to be decided. All these issues which were rais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remained as critical onces throughout the reign of King Seongjong. Orders were continually issued to rectify the problems, and according to the records in the "Annals," it seems the task was completed some time between king Munjong's reign and king Seongjong's.
    Then again, the photographs taken and survey reports fil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reveal that these altars were never changed that much from their initially constructed forms. In case of the Seon'nong-dan altar, the single fence was replaced by a double fence, but it was never created that orderly and not as much as what we can see from the Sajik-dan altar. According to the Ceremonial Protocol manuals, all measures had to adopt the Yeongjo-cheok(營造尺) system: the width of the altar was specified as 2 Jang(丈) 3 cheok(尺), height was dictated as 2 cheok 7 chon(寸), and the width of the fence was designated as 25 Bo(步). But the photographs show that those measures were never abided by in the first place.
    Seon'jam-dan also did not abide by such designated heights and widths. And it was also much smaller than the Seon'nong-dan altar. Interestingly enough, the size of the altar roughly matched that of King Taejong's 14th year. Also, Photographs reveal that the position was not very good, as it was on a slope, and small. The situation was mentioned many times in the "Annals," but the altar was never moved. Many questions were raised, and many suggestions were made, but in the end they were never listened. Only the stonework was done as ordered, and so was the situation of the Seon'nong-dan case.
    We can see that the Seon'nong-dan and Seon'jam-dan altars of Joseon never accurately followed all the guidelines that were supposed to accompany the ‘Middle Service Altars.’ Seon'jam-dan in particular never rectified some of the early problems, and lasted for centuries with appearances and rules that did not match parameters specified in the Ceremonial protocol manuals. It must have been difficult for the state to oversee all these issues, but it is also entirely possible that the people back then simply did not believe such rectification or renovation of altars were that important. It is an interesting question, of how the Joseon people would have been viewing the discrepancies, between reality and the ideal institutions described in man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