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장덕조의 라디오소설 연구 -<장미는 슬프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Jang Deok-jo's Radio Novel in the 1950s - Focusing on “The Roses are Sa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09.12
34P 미리보기
1950년대 장덕조의 라디오소설 연구 -&lt;장미는 슬프다&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2호 / 249 ~ 282페이지
    · 저자명 : 최미진

    초록

    장덕조의 라디오소설 『장미는 슬프다』는 1956년 12월 1일부터 1957년 1월 26일까지 매일 오후 6시 30분부터 45분까지 서울중앙방송국(HLKA)의 <연속소설> 프로그램을 통해 방송되었다. <연속소설> 프로그램은 1950년대 중반 서울중앙방송국이 종일방송체제로 전환하면서 <연속낭독>류 프로그램의 성공 사례를 총동원하여 신설하였다. 청취율이 높은 시간대에 매일 방송된 이 프로그램에 첫 작품으로 창작 소설 『장미는 슬프다』를 내놓게 된 것이다.
    『장미는 슬프다』는 라디오소설의 독자적 미학을 갖추지 못했던 당시에 라디오소설의 형식적 특성을 일부 보여주었다. 대사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다는 점, 방송 매 회당 등장하는 작중인물의 수가 적다는 점, 서사를 주도하고 지배하는 것은 해설자이지만 작중인물과의 구분을 최소화하고 있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특성들은 정확한 메시지 전달에 치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자 한계이기도 하다.
    서사를 추동하는 방식에서 청취자들에게 친숙한 연애소설의 문법과 시의성 있는 사건을 활용한 까닭도 라디오방송의 특성에 따른 것이었다. 이를 통해 ‘자녀 있는 미망인’ 노백미의 재혼문제를 집중적으로 담론화하여 1950년대 중반을 살아가던 청취자들에게 ‘지금 여기’의 문제를 적절하게 환기시키고 있었다. 미망인이 어머니로서만 삶을 영위해야 하는지 아니면 여성으로서 살아가야 하는지를 청취자들에게 묻고 있는 셈이다. 지배 권력이 모성 이데올로기를 강화함으로써 미망인의 재혼불가론을 담론화하였다면, 이 소설은 노백미의 애정갈등을 죽음으로 귀결시키는 방식으로 코드화하였다. 그러나 지배적 코드의 틈새에서 비껴가는 코드들 또한 존재하였다. 노백미의 애정 갈등과정이 서사에 반복적으로 드러나면서 지배적 코드를 끊임없이 미끌어져 나와 틈새를 열어두고 있었으며, 부수적 인물들이 추동하는 협상적 코드는 청취자들에게 미망인의 재혼불가론을 조정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시키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노백미의 죽음을 역설적 생존 전략으로 본다면, 숨겨진 저항적 코드를 읽어낼 수도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taking a closer look at the background for the creation and the codification mode of the radio novel "The Roses are Sad" written by Jang, Deok-jo. The radio novel of 53 episodes aired every day at 6:30 p.m. for 15 minutes between December 1, 1956 and January 26, 1957 on the <Serial Story> program, and Actress Choi, Eun-hui played reading. Encouraged by the emergence of a new private broadcaster and supported by the initiatives of new broadcasting leadership, the Seoul Central Broadcasting Station first introduced <Serial Novel> Program in the mid-1950s. The first edition of the program "The Roses are Sad" was a prime-time radio show.
    Even though radio novels at that time were still incomplete as a stand-alone art, "The Roses are Sad" showed some distinctive radio novel formats. For example, the programs used more speaking lines to add more spices to the one-person reading and to arouse listeners' imagination, reduced the number of characters to help listeners to distinguish characters based only on radio actor's voice and easily follow the flow and situation of the story, and cast a persuasive narrator to familiarize listeners with the messages. Its efforts to convey accurate messages served as both an advantage and a limitation.
    The narrative style of this radio novel featured the grammar patterns of romance stories and contemporary incidents of that time, which were very familiar to listers. Based on this narrative style, it was trying to make the issue of the remarriage of widows with children a public discourse. Love, conflicts and death of the character Roh, Baek-mi called listers' attention to the controversial issue of widows' remarriage. Dominant power at that time strengthened motherhood ideology to disallow their remarriage and this novel conveyed this to listeners as a primary code. There were some minor codes as well. The conflicts in Roh Baek-mi's love repeatedly unfolded, leaving room for consideration, and other negotiable codes proposed by supporting characters could be seen as the necessity to change the predominant code. In addition, if listeners embraced Roh, Baek-mi's death as a paradoxical survival tactic, they could find a hidden defiant co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