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어권 현대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타자성과 다문화성 - 레나테 벨쉬 Renate Welsh의 『디다 혹은 낯선 아이 Dieda oder Das fremde Kind』를 중심으로 ('Otherness' and 'multicultureness' founded in modern German adolescenceroman - Based on Dieda oder Das fremde Kind by Renate Welsh)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2.02
28P 미리보기
독일어권 현대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타자성과 다문화성 - 레나테 벨쉬 Renate Welsh의 『디다 혹은 낯선 아이 Dieda oder Das fremde Kind』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71권 / 253 ~ 280페이지
    · 저자명 : 장영은

    초록

    이 논문은 독일어권 현대 아동청소년문학 가운데 최근 80/ 90년대 이후의 청소년소설에 주목하여 장르적 특성과 대표작품들을 살펴보고,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오스트리아 여성 아동청소년문학작가 레나테 벨쉬의 『디다, 혹은 낯선 아이』를 선택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 현대 독일어권 청소년소설은 한편으론 18세기부터 서사문학의 전통에 자리하던 ‘고전적 내지 전통적인 청소년소설’의 서사적 전통과의 연관관계 속에서 세대 간의 갈등과 국가 사이의 다양한 문화적 갈등이 대두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청소년문화현상을 문학의 주제로 채택하여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집중시킨다. 급변하는 사회구조와 매체의 발달로 현실과 가상세계를 오가는 청소년들은 자아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동시에 개인의 자아와 외부세계 및 환경에 대한 인식 사이에 두드러지는 ‘타자성’을 인지하는 시기에 자리한다. 아울러 급변하는 사회구조와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다문화성’의 사회적 환경 속에서 다른 문화, 다른 사람 사이의 공감적 소통이 요구되는 현실 상황에서 청소년의 ‘사이의 문화’를 문학의 담론으로 채택하고 있는 청소년소설은 화해와 상생을 위한 대안모색에 중요한 인식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80년대와 90년대의 청소년소설은 새로운 청소년의 문제영역과 행동양식, 사회화과정과 가치인식 등을 형상화하며 한 명 내지 여러 명의 청소년 주인공을 중심으로 주로 청소년기에 초점이 맞추어져 소설의 내용이 전개된다. 그리고 ‘전통적 청소년소설’에서는 주로 남자주인공이 선보였지만, 현대 청소년소설에서는 소녀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면서 전통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유로워지려는 해방적 소녀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리고 90년대의 청소년소설은 70년대와 80년대 초반의 청소년문화가 기성세대에 대항하는 저항적 성격을 강하게 표출하였던 것과는 달리, 90년대에 이르러선 환경, 자연, 가족 등을 둘러싼 일상문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들의 공통적인 특성은 작품의 청소년주인공들이 여러 나라와 글로벌시티로 이동하면서 겪는 이국적인 또는 낯선 문화들에 대한 체험들이 부각된다는 점이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청소년은 일종의 유목민처럼 다양한 국가경계를 넘나들고, 또는 광섬유로 연결된 네트워크와 사이버 공간을 오가며 낯선 사람들과 낯선 문화들을 만나고, 그들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자신 역시 낯선 문화의 낯선 사람일 수 있다는 인식에 도달하며, 현대 사회의 ‘다문화성’과 ‘문화적 다수성’을 체험하는 것이다레나테 벨쉬는『디다, 혹은 낯선 아이』를 통해서 ‘타자성’과 ‘다문화성’의 주제를 과거시대인 2차 세계대전 전 후의 시기의 디다라는 소녀아이의 관점에서 풀어낸다. 그러나 그녀가 다루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의 소재들은 현대의 청소년이 겪는 정체성의 위기와 문화적 갈등을 함의한 소재들과 유사하며, 특히 디다의 내적 독백은 현대 청소년독자를 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대인에 대한 오스트리아인들의 태도, 아버지의 재혼으로 인한 낯선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 전쟁을 피해 정든 고향을 떠나서 생활하게 되는 난민으로서의 생활, 미국과 러시아 점령군인과의 체험 등은 ‘그 여자아이’라는 의미의 ‘디다’로만 불리던 한 소녀가 스스로 우르젤이라는 자신의 이름을 찾아가는 내면여행에서 타자성과 다문화성을 인식하는 중요한 체험들이며 전체 소설의 열린 결말과 함께 끝을 맺고 있다.
    벨쉬의 청소년문학텍스트는 청소년의 사회화 과정에서 청소년이 맞닥뜨리게 되는 현사회의 타자성과 다문화성을 선취하여, 독자인 청소년에게 과거와 현대를 이어주는 매개체로서 단절된 세대 사이의 소통이 장이 되며, 심리적 감정세계와 인지적 판단 사이에서 이타적으로 낯선, 다른 것을 바라보고 상호문화적 성찰과 공감적인 소통이 가능한, 기존의 가치판단에서 자유로운 미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Der vorliegende Aufsatz konzentriert sich auf die Analyse von deutschsprachigen Adoleszenzromanen und gibt einen historischen Überblick über die Entwicklung des Genres. In diesem Zusammenhang wird Renate Welschs “Dieda oder Das fremde Kind” (2002) als repräsentatives Beispiel herangezogen und interpretiert. Seit den 70er Jahren des 20. Jahrhunderts hat sich das Interesse der literaturwissenschaftlichen Forschung an den deutschsprachigen Adoleszenzromanen verstärkt. Der Begriff vom modernen und postmodernen Adoleszenzroman als Gattung innerhalb der Kinder- und Jugendliteratur ist bis heute nicht unumstritten. Hier wurde die Begriffsbestimmung von Carsten Gansel herangezogen.
    Seit den achtziger Jahren des 20. Jahrhunderts wird die Welt durch die digitalen Netzwerke noch enger verbunden, gleichzeitig rückt aber auch die Distanz und gegenseitige Entfremdung zwischen verschiedenen Kulturen und Ländern verstärkt in den Mittelpunkt der Aufmerksamkeit. Dadurch gewinnt der Aspekt der interkulturellen Kommunikation immer mehr an Bedeutung. Zugleich wird das Verstehen der Identität einer Gesellschaft und des Fremden in ihr im Diskurs zur Kulturdifferenz vorausgesetzt. Dies kann dies auf die rapiden Veränderungen des gesellschaftlichen Umfelds im Zuge der Globalisierung zurückgeführt werden. Das aktuelle kulturelle Verständnis hat sich über einen langen Zeitraum entwickelt – von einer anfänglichen Unterscheidung von 'uns selbst' und den 'anderen' hin zu einem differenzierten Bewusstsein von vielen verschiedenen Kulturen.
    Das bedeutete, dass die Themen 'Multikulturalität" und "das Fremde" in den Adoleszenzromanen selbst in der kleinsten gesellschaftlichen Einheit, der Familie, an Bedeutung zunahmen. Darüber hinaus wurden neuerdings auch neue Charakteristika innerhalb der Adoleszenzromane intensiv analysiert. Der Begriff 'Multikuturalität" impliziert unterschiedliche Bedeutungen und vielfältige Typisierungen je nach Nation, Staatsangehörigkeit, Rasse und sozialer Schicht. Insofern sollte im literarischen Diskurs über Multikuturalität berücksichtigt werden, in welchem Kontext er ideologische Implikationen beinhaltet.
    Vor diesem Hintergrund kann "Dieda oder Das fremde Kind" von Renate Welsch als ein repräsentatives Beispiel angesehen werden, insofern der Roman Themenkomplexe vermittelt, die von der Identitätssuche eines Mädchens bis hin zu den Problemen von Jugendlichen reichen, die ihre Kindheit und Jugend in Krieg- und Nachkriegszeit verbracht haben. Das Werk ist aus dem Blickwinkel eines jugendlichen Er-Erzählers geschrieben, und zugleich ist der innere Monolog der Protagonistin "Dieda" hervorgehoben. Ihre Identitätssuche basiert auf der Ambiguität ihrer Gefühle. Ihre Hass-Gefühle gegenüber der Stiefmutter und ihrer Familie sind in den Vodergrund gerückt, zugleich wandeln diese Gefühle sich in menschliches Interesse.
    Hier spielen sowohl retroperspektive Erinnerungen an die Kriegs- und Nachkriegskindheit, als auch die Kritik an den gesellschaftlichen Vorurteilen gegenüber dem Mädchen eine Rolle. Dieses Werk endet mit einem offenem Schluss. Sowohl die Suche nach der Identität, als auch das Problem der Kommunikation innerhalb der Familie bleiben so innerhalb der Literatur andauernd prä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