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기 귀환소설 「별을 헨다」의 현실성과 초월성 (The reality and transcendence of Repatriate Novels after the Liberation -Centered on Gye Yongmuk's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9.04
25P 미리보기
해방기 귀환소설 「별을 헨다」의 현실성과 초월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14호 / 211 ~ 235페이지
    · 저자명 : 왕한

    초록

    해방기 소설에 대해서, 그 문학적 가치가 현실에 대한 형상화와 비판적 인식에 집중된다는 담론에 얽매어 그 연구는 다각적으로 전개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직 연구의 가치가 크다. 그 중에 계용묵 소설의 경우, 당시 문단의 대립 속에 작가의 중립적인 경향인 특수성에 인해 더욱 그렇다. 특히 1946년에 연재한 계용묵의 후기 대표작 「별을 헨다」는 이러한 면에서 뚜렷하여 고유 담론을 타격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별을 헨다」는 계용묵의 문학에 나타난 ‘양심-마음’을 통해 현실에 대응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나아가 이 사유를 ‘전통-민족’의 측위로 승화시키는 작품으로, 소설은 사회 현실상을 재현함은 물론 민족의 어두운 미래를 문제 삼아 궁극적으로는 나아갈 길을 꾀했다는 데서 깊고도 넓은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해방기 소설로서 재평가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계용묵 소설의 재해독의 대상으로서 그 의미를 진일보하여 파악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이 작품은 만주에서 조선으로 돌아간 귀환민의 애환을 그린 귀환소설로, 이 시기에 나타난 해외에서 모국으로 귀환하는 양상뿐만 아니라 분단현상까지도 모두 작가의 관심대상이었으며, 작가는 무질서의 사회 모습을 응시하고 그 이면에 잉태하고 있는 사상적 양극화, 민족의 정체성의 위축과 전통의 부재 등의 문제를 밝힌다. 그리고 그 시기의 모든 부조리함의 귀결점을 민족 동질성의  훼손과 주체성 확립의 실패에 두고, 그 출발점을 남북분단의 현실로 소급하기 시도한다. 또한 작품에서 남북의 단절화는 지리적인 단절뿐만 아니라 사상적인 단절까지 제한한다는 작가의 인식을 드러내 보인다.
    이에 대응하여, 민족 고유의 정서와 가치를 되찾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인해 먼저 민족의 동질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상적인 단절을 극복해야 한다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지리적인 단절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미흡한 상황에서 이러한 인간성과 도덕성, 전통적이고 민족적인 것을 회복하고 이를 통해 사상적인 단절로 야기된 민족 사회의 내재적인 모순을 극복하는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주제어: 계용묵, 「별을 헨다」, 해방, 귀환소설, 정주, 민족 정체성, 분단서사, 사상적인 단절, 분단 극복

    영어초록

    The value of the liberation period novels has been mainly reflected in its reflection and criticism of reality. Under the influence of this understanding, relevant research has been unable to be carried out from multiple perspective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search of liberation novels still has very large space and value. Among them, Gye Yongmuk's novel, because of its neutral attitude in the literary arena at that time, its research situation is even more so. <Counting the stars>, Gye Yongmuk's late masterpiece, serialized in 1946, is a work that can fully combat this kind of fixed speech and research phenomena. Although the plot of the novel objectively reproduces the social reality at that time, However, it is of ground breaking significance to put forward the difficulty of the way of the nation as a problem and finally try to find a way out. Therefore, whether it is as the object of the re-evaluation of the liberation novels or for there interpretation of Gye Yongmuk’s novels, Its meaning is necessary to be further grasped. Although it is a novel about the restitution of villagers returning from manchuria to Korea, the author here is concerned not only with the phenomenon of overseas restitution during this period, but also with the phenomenon of the division of Korea. Returnees, as a group facing various social problems at that time, their miserable living conditions reflect the unreasonable phenomenon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author gazed at the disorderly social appearance, and revealed the hidden dangers brewing in it, such as the polarization of people's thoughts, the decline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disappearance of traditional spirit. And for the unreasonableness of this period, to put the end of its development on the destruction of national homogeneity and the failure of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subjectivity, and tried to trace the starting point to the reality of the division of Korea. In this work, the author thinks that the severance of the north and south is not only the geographical severance, but also the ideological severance. Accordingly, he wants to realize national homogeneity by reclaiming the nation's inherent spirit and values, and as a solution to overcome ideological divisi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unlikely to getting rid of the geographic division immediately. It's a more intelligent way to recover human nature and morality, as well as the traditions of the people, to conquer the internal contradictions of the nation's society.


    Keywords:Gye Yongmuk, <Counting the stars>, liberation, repatriate novel, reinstatement, ethnic identity, division narratives, ideological severance, overcoming divi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