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사회를 위한 관용의 철학적 근거 -에라스무스와 마르틴 루터- (Philosophical Ground of Tolerance for Multi-Cultural Society -Erasmus and M. Luther-)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5.10
28P 미리보기
다문화사회를 위한 관용의 철학적 근거 -에라스무스와 마르틴 루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철학 / 25호 / 129 ~ 156페이지
    · 저자명 : 신창석

    초록

    복합적 주제 “관용과 무관용”에 대한 담론 과정은 동시에 현대 한국의 다문화와 함께 하는 철학함이다. 관용은 이미 언어적으로 복합개념이요, 역사적 변천에 따라 중복된 문제영역에 걸쳐 있다. 종교개혁을 전후 한 시기에도 “[관용의] 개념사는... 문제사에서 초래된다”는 법칙이 그대로 적용된다. 현대 인류가 직면한 갈등과 긴장 역시 나름의 진리를 주장하기 위한 모든 새로운 대결 양상과 다양한 법률적 태도, 상이한 종교적 실천방식 그리고 극명한 차이를 가진 생활방식들을 드러내는 동시에 결국 다음과 같은 물음을 촉발한다.
    1] 관용이란 무엇인가? 2] 관용은 어디에 필요한가? 3] 관용의 한계는 어디까지여야 하는가? 서양사에서 관용과 종교의 자유는 밀접한 관계에 있으면서도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즉 관용은 종교의 자유를 베풀고 이끌어내는 한편, 종교의 자유는 다원적 공동체에 기여하는 가운데 관용과 무관용의 관점에 대해 늘 거듭하여 논쟁하고 일치를 지향할 수 있도록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모든 관점들은 “관용” 개념과 나란히 결합되어 인간의 삶과 일상언어 속에 생동하고 있다.
    인본주의 시대에 에라스무스는 종교적 관용을 위해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남긴다. 그는 현대에 이르러 “평화와 관용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는 “관용” 개념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에라스무스는 단순히 관용이나 평화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그가 제시하는 관용은 “일치”를 위한 신학적 조건이며, “일치”는 종교적 결단에 대한 관용의 의무를 지고 있다. 그가 관용을 그리스도교 공동체적 삶의 원리로 승화시키는 것은 “일치”에 대한 자신의 신학적 이해로부터 도출한 것이다. 따라서 에라스무스의 일치는 서로 다른 것이 같은 유형이 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이들의 상호 “관용”을 내포한다.
    종교개혁기의 마르틴 루터는 “tolerantia”를 독일어 “Toleranz”로 번역한다. 그의 독일어 개념 “Toleranz”는 당시 종교개혁에 따른 갈등에 대해 “관용”을 요청하는 대명사가 된다. 그는 “Toleranz”에서 무엇을 이해하였는가? 그는 종교개혁을 시작하고 나름대로 성공시킨 자로서 사랑의 의무와 신앙의 진리 사이에 확고한 긴장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루터는 사랑의 관용과 신앙의 무관용을 극단적으로 대립시킨다.
    에라스무스는 이질적 인종과 신앙에 대해서는 관용을, 엄중한 신앙문제에는 비공개라는 무관용을 견지했다. 이와는 달이 루터는 사랑의 관용과 신앙문제의 공개를 통한 모든 이성에 관용을, 그러나 신앙과 현실적 농민반란에 대해 무관용을 천명하였다. 이러한 차이와 충돌을 통해 관용 개념의 역사는 현대의 다문화사회를 위한 첨예한 관점과 동시에 소통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영어초록

    Die disputativen Zugänge zum Themenkomplex “Toleranz und Intoleranz” in dieser Arbeit sind zugleich Anregungen zum Philosophieren mit der Multikultur in gegenwärtigen Korea. “Toleranz” umschreibt ein sehr komplexes Begriffs- und Problemfeld, das den vielfältigen historischen Wandlungen in der Reformationszeit unterlag. Dabei gilt auch grundsätzlich: “die Wortgeschichte … folgt der Problemgeschichte.” Die Wurzeln des Toleranz-Begriffs und der Gesetzgebungen liegen in religiösen Auseinandersetzungen, die bis in die Anfänge monotheistischer Religionen zurückreichen. Heutige Spannungen und Konflikte zeigen: Jede neue Auseinandersetzung um Wahrheitsansprüche, Rechtsauffassungen, religiöse Praktiken oder unterschiedliche Lebensformen provoziert auch die Frage, 1] was denn Toleranz ist, 2] wo sie geboten ist 3] wo ihre Grenzen sein müssen.
    Toleranz und Religionsfreiheit unterscheiden sich folgendermassen. Einerseits gewährt und schafft Toleranz Religionsfreiheit, andererseits trägt Religionsfreiheit mit zu einer pluralistischen Gemeinschaft bei und bewirkt damit, dass über Aspekte von Toleranz und Intoleranz immer wieder neu gestritten und Einigung erzielt werden muss. Im Begriff “tolerlantia” leben all diese Aspekte nebeneinander und miteinander verbunden in unserer Alltagssprache weiter.
    Im Zeitalter des Humanismus hat sich Erasmus von Rotterdam sein Eintreten für die religiöse Toleranz erfolgreiche Verdienste erworben. Er gilt heute als “Vorkämpfer für Frieden und Toleranz”. Was aber versteht Ersmus eigentlich unter dem Begriff “Toleranz”? Im Zeitalter der Reformation hat M. Luther “tolerantia” ins Deutsch “Toleranz” übersetzt. Was aber meinte er mit dem Begriff “Toleranz” eigentli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