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자인 아카이빙(Design Archiving)’ 개념 정립을 위한 다학제적 기초 연구 (A Study on Multidisciplinary Fundamental for Building the Concept of 'Design Archiving')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0.09
14P 미리보기
‘디자인 아카이빙(Design Archiving)’ 개념 정립을 위한 다학제적 기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38권 / 4호 / 465 ~ 478페이지
    · 저자명 : 허보경, 황새연, 원다솔, 이민

    초록

    본 연구는 디자인 아카이빙(Design archiving) 이슈가 담론화되는 시점을 배경으로 한다. 2011년부터 디자인 아카이브 구축 연구가 진행되었고, 같은 해에 세종시의 국립디자인박물관 건립이 계획되었다. 그러나이러한 계획 마련과는 달리, 디자인 콘텐츠 확보에 관한 우려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무엇을 어떻게 넣을 것인지 고려되지 않은 채로 건물 짓기를 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의 전문적인 아카이빙 영역을 구축하는데 기반을 마련하고자한다. 특정 분야의 아카이빙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기록학에 의존하여 연구를 전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록학에 의존하는 패러다임을 탈피하고 디자인의 특성, 디자인 기록물의 특수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 주제를 설정하고그에 적합한 방법을 활용했다. 첫째, 문헌연구를 토대로 포스트 메모리 개념과 기록의 이유, 그리고 디자인기록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둘째, 기관조사를 통해 대중에게 디자인이 어떠한 관점으로 소개되고 있는지살펴보았다. 또한, 디자인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문화·예술, 건축, 미술 분야의 아카이빙 사례를 조사했다. 셋째, 디자인 유사 분야의 아카이빙 사례를 비교· - 468 - 분석하여 디자인 아카이빙 개념 정립에 필요한 방향성을 도출했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디자인 아카이빙 또한문화·예술, 건축, 미술 분야와 같이 독자적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 아래에 디자인을 대상화하는 시각 또한 변화해야 한다. 국가적 행사나 기업의 성과로만 존재하던 디자인은 창작이자 일상과 사회를 반영한 산물로 인정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동시대에서 디자인이라는 장르의특성과 대중의 일상·사회성을 반영한 디자인 아카이빙 개념이 고착되고, 디자인을 대하는 관점과 태도가달라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set at the time when design archiving issues are discussed.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design archives has been conducted since 2011, and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Design Museum in Sejong City was planned in the same year. However, contrary to these plans, there are voices of concern about securing design content.
    They do not consider what to put in and how to build a building.
    In this context, the study seeks to establish a professional archive area in the field of design. In order to establish an archive system in a particular area, it is common to develop research dependent on recordology. However, in this study, we want to move away from the paradigm of relying on recordology and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the specificity of design records.
    Three main topics were set as methods of study and the appropriate methods were used.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we looked into the post-memory concept and the reason for the record, and the meaning of the design record. Second, through an institutional survey, we looked at how design is being introduced to the public. In addition, the archive cases in the fields of culture, art, architecture, and art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to design were investigated. Third, by comparing and analyzing archiving cases in design-like fields, the direction need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design archiving was derive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design archiving should also be able to secure its own areas such as culture, art, architecture, and art. The perspective of targeting the design below this objective should also change. Designs that existed only as national events or corporate achievements should be recognized as creations and products that reflect everyday life and society.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design archiving,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of design in the contemporary era and the daily and social nature of the public, needs to be entrenched, and the perspective and attitude toward design need to be chan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