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족음악학과 다문화음악교육: 그 만남의 지점 찾기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3.03
29P 미리보기
종족음악학과 다문화음악교육: 그 만남의 지점 찾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세계음악학회
    · 수록지 정보 : 음악과 문화 / 28호 / 5 ~ 33페이지
    · 저자명 : 박미경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thnomusicology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Korea, by examining through academic discussions. Korea has changed drastically to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nterest in multicultural music among music educators and scholars has been grown tremendously. Since the first appearance of the thesis on "conceptual approach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ntil 2001 one or even no thesis came out every year. At 2008, sudden increase to double digit began to appear. For last 3 years, over 70 theses were poured out. Similar amount of journal articles on multicultural music/music education were presented, the first one appearing at 1992. Significant increase of the journal writings began to be occurred around 2004. Such statistics and its currents allow us to forecast the pres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term 'ethnomusicology' on the other hand was introduced into Korea much earlier around 1982. While there was not-so-strong but constant line of its reference and research results in printed materials, the discipline had never settled in as a major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Ethnomusicology was often regarded as an alternative methodic branch of the scholarship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had never been understood as a scholastic discipline of world music(s) in its full scale. While recently the issues regarding the need for and method-search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rise vigorously, there seems very little treatment of ethnomusicological literature in their writing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thnomusicology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Korea,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pertinent data will be carried, especi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s and scholastic writings whose title contains the term multicultural music. In addition, the literature which contains the term such as cross-cultural, inter-cultural, world music will also be examined and analyzed. And finally further questions will be addressed in the paper regarding the relation of the two disciplines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reciprocal influence each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