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영미 시연구 - 『서른, 잔치는 끝났다』를 중심으로 - (Choi Young-Mi's Poetry Study: Based on “30 years old, the party is ove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4.07
31P 미리보기
최영미 시연구 - 『서른, 잔치는 끝났다』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89호 / 33 ~ 63페이지
    · 저자명 : 김민지

    초록

    본 연구는 1994년 베스트셀러 시집인 최영미의 『서른, 잔치는 끝났다』에서 절제된 낭만성과 아이러니를 발견하고, 일시적이고 충동적인 시인의 사랑관과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게 된 원인을 추적한다. 작품보다 대중의 반응만을 평가의 대상으로 삼았던 기존 비평들과 달리 시 자체 주목하여 최영미의 시선과 이를 공유받은 대중의 내면을 살핀다. 특히 표제시인 「서른, 잔치는 끝났다」에 담겨있는 시인의 울림과 시선을 따라가면 시에 투영된 절제된 낭만성과 표현의 아이러니를 발견하여 시인에게 집중된 논란에서 벗어나 시대의 감각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시에 변덕스럽게 나타나는 시적 화자의 감정과 충동적인 행위를 의도와 다르게 대중을 위한 호소로 읽는다면 시집을 재평가 할 수 있다. 이는 무질서와 방황의 시대였던 1990년대 초에 최영미가 대중에게 건넨 의미를 찾아, 시인에게 덧댄 논란에서 벗어나 시만을 온전히 바라볼 기회를 마련한다.
    최영미 시에서 문득 떠오르는 고통스러운 기억의 반복과 희생자들에 대한 자책이 실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임에 주목한다. 최영미는 시의 노골적이고 직설적인 표현법은 의도하지 않게 차마 드러낼 수 없는 감정의 당위성을 확보하고 대중을 대신해 시로 호소한다. 이러한 시인의 차가운 위로가 대중에게 큰 공감을 샀을 것이라 보고, 어떤 방식으로 시인의 삶과 시선을 그렸는지 깊이 연구한다. 시를 자칫 감정적이고 충동적인 시인의 반응으로만 평가한 기존 해석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직설적인 표현 뒤에 존재하는 고통의 응시와 아직 끝나지 않은 ‘잔치’를 사유하는 최영미 시를 탐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Choi Young-mi's 1994 bestselling book of poetry, “Thirtieth, the Feast is Over,” based on the poet's temporary and impulsive view of love and ideology that completely deviated from the gaze of the 1980s. For analysis, we confirm the reputation and perception of Choi Young-mi's poem, which was the most popular of the time, and analyze the meaning of love that appears repeatedly in the poem. Unlike previous criticisms that evaluated only the public's reaction rather than the work, it examines Choi Young-mi's gaze and the inner side of the public who received it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em itself. In particular, if you pay attention to the poet's inner resonance and voice contained in the headline poem “Thirtieth, the Feast is Over,” you can find an understated romanticism and irony of expression. In addition, if the poetic speaker's emotions and impulsive behaviors that appear erratically in poetry are known, it can be analyzed as an appeal and comfort for the public. By logically approaching the purpose and intentions of Choi Young-mi's poem, we try to find the meaning that Choi Young-mi gave to the public in the early 1990s, an era of disorder and wandering. It emphasizes that the painful memories that suddenly come to mind and the blame for the victims is actually a very natural phenomenon. Choi Young-mi secures the legitimacy that was inevitable with an explicit and straightforward expression and appeals to poetry on behalf of the public. I believe that the poet's cold comfort must have gained great sympathy from the public, and I want to take a deeper look at how he drew the poet's life and gaze in an atmosphere of the times when even direct consolation is difficult. Unlike the previous interpretation, which evaluated poetry only by the emotional and impulsive response of the poet, this study explores Choi Young-mi's poetry by thinking about the pain of staring behind the straightforward expression and the unfinished “par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