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기장수’ 설화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에서의 제안 (A Proposal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a folktale of ‘Agijangsu’)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8.10
26P 미리보기
‘아기장수’ 설화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에서의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76호 / 189 ~ 214페이지
    · 저자명 : 정현정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거주하는 정주자와 이민자들이 서로의 문화 차이를 이해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다문화적 시각을 배양하고 향상시키는 데 있다. 자문화와 타문화의 비교 도구로는 구비문학 중 설화를 선택하였다. 구비문학은 연행을 기본으로 삼기 때문에 누구나 소비자이면서 생산자가 될 수 있고 말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그 시대의 문화가 첨가되고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가 각 나라에서 비슷한 전개 구조를 가지며 전승되는 것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아기장수’ 설화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각 나라의 문화적 차이를 알아보고 그 차이점이 가지는 의미를 통해 이민자를 받아들이는 우리의 자세에 대해 생각해 볼 것이다. 또한 ‘아기장수’ 설화를 통해 정주자와 이민자의 사회적 위치와 현실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아기장수’ 설화는 한국에서는 굉장히 많은 변이형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역사가 파란만장했던 만큼‘아기장수’를 통해 민중의식의 변화가 다양하게 표현되었던 것이다. 특히 ‘아기장수’ 설화 속에는 정주자와 이민자의 이야기가 들어 있어 현재의 우리 사회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아기장수’ 설화 외에 일본과 베트남의 설화를 살펴 볼 것이다. 세 나라의 ‘아기장수’가 가지는 특징을 분석하고 다문화적 함의도 살펴볼 것이다. 이민자로 대표되는 ‘아기장수’는 여러 가지 시련을 겪으면서 이주민에 대한 사회의 억압을 보여준다. 한국의 ‘아기장수’는 유일하게 아기장수의 실패담을 보여준다. ‘아기장수’ 설화에서 ‘아기장수’를 이민자로 바꾸어 읽어 본다면 한국사회에서 살아왔던, 그리고 현재 살고 있는 이민자들의 고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 사회 안에서도 같은 한국인이라도 주류와 비주류로 나뉘어 주류 계층의 힘에 의해 좌절당했던 수많은 비주류 계층의 이야기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전라도와 제주도 지방에서는 변이형으로 ‘아기장수’의 성공담이 전해지기도 한다. 이것은 비주류 계층의 자각에서 일어나는 현상일 것이다. 이민자 역시 자신의 현실을 직시하고 자각한다면 한국 사회에서 동등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세 나라의 설화를 비교․대조하여 자문화와 타문화가 어떻게 공존해 갈 수 있을지 생각해 볼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ultivate and improve multi-cultural viewpoint so that permanent residents and immigrants can understand and overcome differences in cultures. This study selected a folktale out of oral literature as a tool to compare domestic culture and other cultures. As oral literature is based on the word of spoken language, anyone can become a consumer and a producer and the culture of the period can be added and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speech. Inspired by the fact that a story of ‘Taoist fairy and woodcutter’ which is widely known to Korean people has been passed on in many countries with similar development, this study will make comparative analysis of folktales of ‘Agijangsu’ to find out cultural differences among countries and think about our attitude towards immigrants through significance that such differences have. This story will examine social position and reality of permanent residents and immigrants through a folktale of ‘Agijangsu’. A folktale of ‘Agijangsu’ has a great number of variants in Korea. Changes in people’s awareness have been expressed variously through ‘Agijangsu’ to reflect turbulent history. Specifically, a folktale of ‘Agijangsu’ contains a story of permanent residents and immigrants to reflect today’s society correctly. This study will look into Japanese and Vietnam versions of ‘Agijangsu’ in addition to Korean version of ‘Agijangsu’. This study will analyze characteristics of versions of ‘Agijangsu’ in three countries and examine multi-cultural implications. ‘Agijangsu’ representing an immigrant shows society’s suppression of immigrants. Only Korean version of ‘Agijangsu’ shows failure of baby commander. Reading a folktale of ‘Agijangsu’ with interpreting baby commander as immigrant, it will help understand difficulties immigrants have better. A folktale of ‘Agijangsu’ can be interpreted as a story of non-mainstream classes who have been suppressed by mainstream classes in Korean society. In Jellado Province and Jeju Island, success story of a folktale of ‘Agijangsu’ has been passed on. Such phenomena seem to arise from self-awareness of non-mainstream classes. If immigrants face up to the reality, they can find a way to live a decent life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will examine how domestic culture and other cultures can coexist by comparing folktales of three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