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미학 연구 (A Study on the Grotesque Aesthetics of Frida Kahlo's Self-Portraits)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1.03
10P 미리보기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미학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 22권 / 66호 / 5 ~ 14페이지
    · 저자명 : 장재원

    초록

    프리다 칼로(Frida Kahlo)는 20세기 멕시코의 대표적 여성 화가로서, 독특한 스타일의 자화상과 초인적인 삶으로 대중들에게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녀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변별적인 조형적 요소들에 주목하고 작품 표현방식의 공통범주와 근거에 대해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작품의 심층에 내재되어 있는 작가의 의식과 메시지를 새로운 시각에서 성찰함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에 나타나는 기이하고도 이질적인 표현방식을 자신의 존재와 예술작품에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하는 존재론적 전략이라고 보고 이를 그로테스크 미학의 관점으로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그녀의 작품에서는 비하와 조롱에 해당되는 그로테스크의 특징은 발견되지 않았고, 불안감과 불편함을 야기하면서 기이한 친숙함을 의미하는 ‘언캐니(uncanny)’, 육체를 심하게 변형함으로써, 이질화 된 자신의 몸과 마음을 형상화하는 ‘기형적 신체’, 그리고 존재와 비존재, 미와 추의 경계선상에 있는 비천한 존재인 ‘아브젝시옹(abjection)’이라는 특징들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한편으로는 세계 앞에서 느끼는 제 3세계의 장애인 여성의 불안과 공포를 표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절망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존재를 긍정하며 세계 내에 스스로를 정립하는 실존적 결의를 표현하고 있다. 그렇기에 프리다 칼로의 특이한 자화상에서는 자기중심적이고 나르시즘적 주체를 해체하고 분열된 세계를 드러내며 현대 예술에서 표현의 소재와 지평을 확대한다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Frida Kahlo is a representative female painter of Mexico in the 20th century, known to the public for her unique portraits and superhuman life. This study focuses on discriminatory formative elements appearing in her self-portrait and attempts to grasp the common categories and grounds of the expression method in her work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flect the artist's consciousness and message inherent in the depths of her work from a new perspective thereby. This study viewed the strange and heterogeneous way of expression that appears in Frida Kahlo's self-portraits as an ontological strategy that gives a new identity to her existence and works of art and analyz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grotesque aesthetics. From th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corresponding to demeaning and mockery were not found, but it was found that it is composed of the features of 'uncanny', which means strange familiarity while causing anxiety and discomfort, 'deformed body' that embodies her own body and mind that has become heterogeneous, and “abjection,” which is on the border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on the border between beauty and ugliness, as a lowly being. These elements express on one hand the anxiety and fear that a disabled woman of the third world feels in front of the world, and on the other hand, express an existential determination to establish herself in the world by affirming her existence even in the desperate situation. Therefore, it can be appreciated that Frida Kahlo, in her peculiar self-portrait, tries to dismantle her self-centric and narcissistic subject, revealing a divided world, and expanding the object and horizon for expression in contemporary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러스트레이션 포럼”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