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다문화 리터러시 국내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ulticultural Literacy Using Topic Modeling)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5.03
20P 미리보기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다문화 리터러시 국내연구 동향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북아 문화연구 / 1권 / 82호 / 83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준환, 양민호, 최민경, 김경남

    초록

    This study analyzes academ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Multicultural Literacy (ML)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In the context of rapid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changes, ML has emerged as a key competency for enhancing social integration and industrial productivity.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L by analyzing 533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24. It employs text mining techniques such as TF analysis, Word2Vec, and BERTopic to extract key keywords and identify five core topics. The first topic concerns learning strategies centered on cul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use of literary narratives. The second topic highlight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mphasizing multicultural values and world citizenship awareness. The third explores the convergence of media and education, while the fourth proposes educational methodologies utilizing film media. The fifth topic addresses social media and digital writing strategies in the digital age.
    The results show that ML plays a central role in cultural exchange and serves as an educational tool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media environments. The analyzed data connect academic discussions of ML with practical applicat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social integr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articular, digital literacy and convergent approaches exp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ies in multicultural societies. This study identifies academic trends in ML research and provid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se trends. It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utilize diverse data sources and combin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further explore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ML.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academ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Multicultural Literacy (ML) using topic modeling techniques. In the context of rapid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 changes, ML has emerged as a key competency for enhancing social integration and industrial productivity.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L by analyzing 533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24. It employs text mining techniques such as TF analysis, Word2Vec, and BERTopic to extract key keywords and identify five core topics. The first topic concerns learning strategies centered on cul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use of literary narratives. The second topic highlight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emphasizing multicultural values and world citizenship awareness. The third explores the convergence of media and education, while the fourth proposes educational methodologies utilizing film media. The fifth topic addresses social media and digital writing strategies in the digital age.
    The results show that ML plays a central role in cultural exchange and serves as an educational tool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media environments. The analyzed data connect academic discussions of ML with practical applicat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social integr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articular, digital literacy and convergent approaches exp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possibilities in multicultural societies. This study identifies academic trends in ML research and provid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based on these trends. It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utilize diverse data sources and combin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further explore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M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북아 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