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의 웰다잉 교육에 대한 학습효과 평가 (Evaluation of Learning Effects on the Well-dying Education in College Student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9.08
15P 미리보기
대학생의 웰다잉 교육에 대한 학습효과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생활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생활과학회지 / 28권 / 4호 / 403 ~ 417페이지
    · 저자명 : 유복희, 이민아

    초록

    본 연구는 웰다잉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그리고 웰다잉 공간계획의 중요도에 대하여 수업전·후의 교육효과를 평가하고, 앞으로의 죽음 및 웰다잉 공간의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K대학교와 U대학교에서 공동으로 개설한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8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을 시작하기 전에 집단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죽음의 이해, 슬로메디신, 친밀한 환경, 웰다잉 장소, 웰다잉의 순간, 웰다잉 보드 만들기 등의 주제로 6주간 수업을 실시하고 7주째에 동일한 설문으로 다시 의견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웰다잉에 대한 인식은 수업전보다 수업후의 평가에서 긍정적, 다양성, 구체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웰다잉 공간의 수업전·후의 중요도의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물리적 계획요소는 무장애(베리어프리)시설과 관련한 안전 공간에 대한 계획, 정서적 계획요소에서는 환자의 인격적 삶을 존중하는 프라이버시 배려를 위한 공간계획, 사회적 계획요소에서는 가족과의 함께하는 공간과 사회적 활동을 존중한 공간의 계획, 영적 계획요소에서는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영적 위안을 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중요성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3) 인간의 존엄성을 수용하며 죽음을 준비하는 것이 웰다잉이며, 웰다잉 공간은 환자의 기본적인 인격을 존중하고 보호하는 조치와 지원이 이루어져하는 것이라는 기본적 전제에서, 교육을 통해 특정한 ‘웰다잉 공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 and post-class learning effects based on the awareness of and attitude towards well-dying,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its space plann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ducation of future death and the well-dying space. This study used 82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a liberal arts course jointly organized by K University and U University as subjects. Prior to the commencement of the said course, a group survey was carried out, then classes were held for six weeks on topics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death, slow medicine, intimate environment, well-dying places, well-dying moments, and making well-dying boards. Subsequently, on the seventh week, the opinions were gathered again through the identical survey conducted earlier.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 of well-dying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grew more positive, diverse, and specific in the post-class evaluation compared to the pre-class survey. 2)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pre- and post-clas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well-dying space indicated that the planning for the safe space related to the barrier-free facilities and the space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the privacy that respects the patient’s personal life were enhanced with regard to the physical planning elements and the emotional planning elements, respectively. As for the social planning elements, an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space planning that respects the space where the families enjoy together as well as the space for social activities, while the importance as to the space that provides spiritual comfort in respect for human dignity has been strengthened for the spiritual planning elements. 3) Based on the basic premise that the well-dying is about accepting human dignity and preparing for death, and that the well-dying space should be provided with measures and support that fully respect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the patient, the study clearly displayed that changes in the awareness of certain ‘well-dying spaces’ are obtainable through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생활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