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마스 머튼과 다석 유영모의 종교사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igious Thoughts of Thomas Merton and Yu Young-Mo)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4.06
30P 미리보기
토마스 머튼과 다석 유영모의 종교사상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225호 / 194 ~ 223페이지
    · 저자명 : 최용운

    초록

    본고는 트라피스트회 수도자였던 토마스 머튼(Thomas Merton)과 한국의 개신교 사상가 다석 유영모(多夕 柳永模)의 종교사상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적으로는 두 사상가의 신비 체험과 핵심 사상, 그리고 이웃 종교에 관한 태도와 견해를 중심으로 분석한 후 상호 비교하게 된다.
    머튼이 동양 종교의 전통적 가치를 존중하며 가톨릭 수도자이자 관상가로서 자신이 구축한 사상적 토대 위에 동양의 종교사상을 포용하기 위해 노력하였다면, 다석은 유교, 불교 및 도교와 같은 동양의 종교 전통에 대한 해박한 지식의 기초 위에 그리스도교를 수용하고 자신만의 관점으로 토착화함으로써 독창적인 종교사상을 구축하였다. 머튼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하여 생애 말년에 이르기까지 수차례에 걸쳐 신비 체험을 경험하였으며, 자신의 신비 체험을 그리스도교 전통에 내재한 관상(contemplation)의 전통과 결부시켜 해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머튼의 종교사상 전체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가 ‘관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머튼 자신의 신비 체험을 객관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머튼의 종교사상의 또 다른 큰 특징은 ‘자기’(self)에 대한 끝없는 천착이며, 이 자기에 대한 자각을 기초로 하느님과의 관계를 지향한다. 이때 머튼은 ‘하느님의 모상’(imago Dei)을 가진 존재인 인간의 참다운 모습을 ‘속나’(inner-self), ‘참나’(true-self) 또는 ‘깊은 나’(inmost-self)라고 부른다. 머튼은 인간 존재의 원천인 참나, 곧 하느님의 모상을 통해 우리는 항상 하느님과 분리할 수 없는 하나로 있다고 말한다.
    다석은 16세에 그리스도인으로서 신앙생활을 시작하였으며, 52세에 신비로운 영적 체험을 한 후 ‘거듭난 인생’임을 천명하였다. 그는 ‘얼나’의 가치를 강조하였는데, 각 개인은 내면에 저마다의 얼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 얼을 통해 하느님을 깨닫고 하느님과 소통하게 된다고 말한다. 다석에 따르면, 예수 또한 자신의 얼나를 통해 하느님을 깨달음으로써 하느님의 아들이 되었으며, 누구나 자신의 얼나를 통해 하느님을 깨닫고 하느님의 아들이 될 수 있다. 다석의 이러한 사상은 ‘자기’를 깨닫고 ‘자기 초월’을 추구하는 머튼의 사상과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그리스도론에서 두 사람의 사상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다석의 경우 예수를 어느 성현보다 높은 경지에 도달한 사람으로 보았으나 하느님과 동일한 위격을 가진 존재로 생각하지는 않았다. 반면 머튼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하느님의 위격과 동일한 신성을 가진 존재로 인정하는 가톨릭 전통을 고수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석은 유교·불교·도교의 사상적 토대 위에 그리스도교를 수용하는 과정에 자신만의 독창성을 가진 신학적 토착화를 시도하였다. 이와 비교해 머튼은 가톨릭 수도자로서 자신이 속한 그리스도교 전통 교리를 유지하면서도, 이웃 종교의 사상을 수용하며 그리스도교의 사상과 교류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religious thoughts of Thomas Merton (1915-1968), a trappist monk, and Daseok Yu Young-mo (1890-1981), a Korean protestant thinker. In detail, the mystical experiences and core ideas of the two thinkers, as well as their attitudes and opinions on other religions, are analyzed and compared.
    While Merton respected the values of eastern religious traditions, endeavoring to embrace eastern religious ideas based on the ideological foundation he established as a catholic monk and contemplative, Daseok built an original religious thought by accepting Christianity on the basis of extensive knowledg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indigenizationing them from his own perspective. Merton had mystical experiences several times from childhood to the end of his life, attempting to interpret them in connection with the contemplative tradition inherent in Christianit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theme running through Merton’s entire religious thought is ‘contemplation’, which was part of his effort to objectify his own mystical experience. Another major characteristic of Merton’s religious thought is his ceaseless inquiry into the ‘self’, pursuing a relationship with God based on self-awareness. At this time, Merton refers to the true essence of humans, who are beings with ‘the image of God’, as the ‘inner-self’, ‘true-self’, or ‘inmost-self’. According to Merton, we are always inseparable from God through the true-self, the source of human existence, that is, the image of God.
    Daseok began his religious life as a Christian at the age of 16, and after having a mystical spiritual experience at the age of 52, he declared that he was born again. He emphasized the value of ‘eolna’(soul-self), stating that each individual possesses their own ‘eol’(soul) within themselves, and through this soul, they realize and communicate with God. According to Daseok, Jesus also became the son of God by realizing God through his soul, and anyone can realize God, becoming the son of God through their soul. This idea of Daseok aligns with Merton’s idea of realizing the ‘self’ and pursuing ‘self-transcendence’. However, in christology, the ideas of the two men differ significantly. In Daseok’s case, he regarded Jesus as a person who had reached a higher level than any other saint but did not consider him as having the same personality as God. On the other hand, Merton adhered to the catholic tradition of recognizing Jesus Christ as having the same divinity as the personality of God. As a result, Daseok attempted to indigenize theology with his own originality while accepting Christianity based on the ideological foundat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contrast, Merton, as a catholic monk, upheld the doctrines of the christian tradition while embracing other religious thoughts and integrating them with christian id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전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