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 가정 어린이의 다중언어발달과정 연구 (Die Studie zum Erwerbsprozeß der Mehrsprachigkeit bei den Kindern von multikulturellen Familie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3.12
21P 미리보기
다문화 가정 어린이의 다중언어발달과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33호 / 195 ~ 215페이지
    · 저자명 : 유수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의 다중언어습득 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서지연구 결과를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정의 상황과 접목하여 다문화 가정 어린이들의 모어습득 여부를 질적인 연구방법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장연구와 인터뷰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상황을살펴보니, 다문화 가정은 그 어머니 나라의 언어와 한국어를 접할 수있는 환경적 조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어린이들이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를 배울 수 없었고, 이는 가족과 사회의조직적이고 철저한 억압 속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앞에서 잠시 언급하였듯이 본 연구의 계획단계에서는 모어와 한국어가 동시에 습득이 가능한지 관찰하기를 기대하였다. 다중언어습득시 상승작용과 간섭현상이 일어날 것을 예상하였으나, 현장연구를 통해서 모아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은 모어를 배제하고 한국어만을 사용하는 습득 과정만이 기록되었다.
    모어를 습득하는 어린이의 수 자체가 너무 적어서 다중언어성의 발달이라고 얘기할 수 없는 ‘슬픈’ 현실을 학문적인 현장연구의 방법으로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유럽에서도 한 언어사회내에서 다중언어성을 개발하는데에 어려움이 따르지만 여러 가지 사회적인 장치로 다중언어성을 장려하면서동화주의를 극복하고 있다. 다중언어성은 사회와 가정이 뒷받침되어야, 그리고 사회적인 보상이 따라야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몽골어, 인도네시아어 등 유용성측면에서 외국어로서 일정 지위를 인정받지 못 하는 언어는 우리나라에서 다중언어습득의 대상이 될 수없음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다만 중국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외국어로 인정받고 있는 언어만이 주위 환경의 격려를 받으며 모어습득이가능하고, 이때만이 다중언어성이 장려되었다.
    유럽은 동화주의를 극복하고 한 사회내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정치적, 정책적, 사회적 노력을 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도 역시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노력과 정책으로 소수자 언어를 위한 다중언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제도권 내에서 이러한 언어능력을 인정해줌으로써 보다 다양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의 환경을 다중언어화자로 키울 수 있는 좋은 조건으로 받아들이고 사회적 인정과 장려가 시급히 필요하다. 올해 처음으로 수능에 베트남어가 들어가서 다문화가정의 어린이들과 다중언어사회의 모어 장려의 측면으로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해당언어가 우리나라에서 제2외국어로서 인정되는 언어가 아닌 소수의 언어라 할지라도 외국어 고등학교에 학과를 만들거나, 대학에학과를 만들어서 다문화 가정의 어린이들의 사회 진출을 돕는 사회적 장치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교사 양성과정에서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올바른 다문화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할 수있다. 즉, 모어를 할 수 있는 학생들이 학급에서 ‘이상한’ 가정 출신의 학생이 아니라, ‘매우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진 어린이’, ‘많은다른 학생이 할 수 없는 언어를 하는 학생’으로 인식되어 다문화 가정 어린이로서의 불이익을 받지 않고 우리나라의 글로벌 리더로서자라날 수 있게 교육할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Die Studie beschäftigt sich mit dem Prozess der Mehrsprachigkeit vonden Kindern bei den multikulturellen Familien, deren MütterHeiratsimmigranten von binationalen Paaren sind. Die Kinder von denHeiratsimmigranten haben besonders gute Voraussetzungen, zweiverschiedene Sprachen und Kulturen erwerben zu können. Aber in derAlltagswirklichkeit in Korea können die meisten von ihnen selten dieSprache und die Kultur der Mütter erlernen, weil die familiäreUmgebung und die koreanische Gesellschaft systematisch den Erwerb derSprache verhindern, die keinen anerkannten Status als eine Fremdsprachein Korea hat.
    In dieser Arbeit wurden die Erkenntnisse und Ergebnisse aus Forschungen über Mehrsprachigkeit in Europa besonders im DaF-Bereichvorgestellt. Anschließend wurde unternommen, diese Erkenntnisse auf diekoreanische Situation zu übertragen. Zum empirischen Teil habe ich mitHilfe von Diskursanalysen, Interviews und Hospitationen dieMehrsprachigkeit in Kommunikationssituationen beschrieben undanalysiert. Dafür habe ich Mütter und Kinder beobachtet, interviewt,Gespräche mit ihnen aufgenommen und transkribiert. Anhand derTranskriptionen wurde versucht, die Alltagswirklichkeit darzustellen unddie Gründe der Verständigungsprobleme zu analysieren, die dazu führen,dass die Sprache nicht erworben werden kann.
    Daraus ergibt sich, wenn die Sprache der Mutter in Korea einegesellschaftlich anerkannte Fremdsprache ist - wie zum BeispielChinesisch -, dass dann die Familien und Mütter dazu neigen, dieseSprache auch weiterhin zu praktizieren und den Erwerbsprozeßfortzusetzen.
    Auf der Grundlage dieser Untersuchungsergebnisse sollte eineFörderung zur Entwicklung von Mehrsprachigkeit institutionalisiertwerden. Wenn die Kinder mit verschiedenen Sprachen und Kulturenausgestattet werden, können sie später z.B. als Experte imWirtschaftsbereich in den entsprechenden Ländern interkulturellangemessen arbeiten. Aber wenn diese Chance zur Mehrsprachigkeitsystematisch nicht genutzt wird, und statt dessen eine totale Integrationverlangt wird, kann eine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kaum entstehen. Esist die höchste Zeit, dass man eine Sprachenpolitik entwickelt, diegesellschaftliche Unterstützung zur Förderung der Mehrsprachigkeitanbietet, die Offenheit und Toleranz zur fremden Sprache und Kultur imschulischen Gebiet ausbilden und fördern hilf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어로서의 독일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