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시대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교육연극 (Process Drama for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0.04
52P 미리보기
다문화시대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교육연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40호 / 451 ~ 502페이지
    · 저자명 : 한규용

    초록

    2000년도에 들어서면서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들과 이주 노동자들의 자녀들 또한 국내 학교에 진학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결국 이주 노동자 자녀들뿐만 아니라 ‘코시안’ 아동들과 같은 다문화 가정의 부모는 물론 그들의 자녀들도 우리의 공교육 체제 안에서 교육을 받아야 하는 급박한 현실이 되어 버렸다. 그러나 우리의 일선 교육현장에는 이렇다 할 정책이나 방안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우리의 현행 국어교육은 한국어라는 단일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최근 대두된 문화다원주의는 문화집단들 간의 평등과 상호존중을 근본으로 하는 만큼 이제는 우리의 언어교육 또한 한국어라는 단일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다문화․다언어를 배경으로 하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 또한 그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즉, 소수 집단과 다수 집단이 합쳐져서 하나의 사회적 단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둠으로써 다인종․다문화 시대의 교육은 결국 공교육 시스템 안에서 인종적․문화적 편견을 감소시키면서 다문화적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에서 일반 아동들이 서로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통해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과 공존하고 상생할 수 있는 시민 의식을 갖게 하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 결국 언어교육의 관점에서 한 나라, 한 민족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첩경의 길은 그 국가, 그 민족의 언어를 알아듣고 이해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외국어 교육은 필수적이고, 이러한 이유에서 이중(또는 다중)언어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따라서 이중언어교육의 문제는 학교 교육 안에서 이루어지는 국어 교육으로부터 풀어 가야 할 과제이기도 하고, 나아가 영어교과 등의 외국어 교육을 통해서도 극복해가야 할 문제이다.
    과정연극이라고도 불리는 교육연극이 모국어나 외국어 교육 또는 이중언어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근거는 무엇보다도 연극이 ① 대사로 이루어졌으며, ② 무엇인가 인간에게 의미가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데 있다. 연극에 있어 대사의 기능을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대사는 플롯을 구성하는 요소 중의 하나이며, 극적 상황을 전개시키는 동시에 극의 주제와 사상, 등장인물의 성격과 사상, 인물들 간의 상호관계, 등장인물의 심리상태 등 연극의 객관적 정보와 주관적 가치판단 내용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교육연극이 이중언어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타당성은 언어장애치료적인 관점에서 스크립트 문맥을 이용한 언어치료법의 이론을 적용하여 해석할 수 있다. 스크립트 이론은 일상적인 상황문맥이 그 즉각적인 상황에 대하여 화자 간에 공유하는 상황지식을 제공해 주며, 그 결과 아동에게 그 상황에서 늘 쓰이는 상황적 언어를 배우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해 준다는 것인데, 과정연극은 대본화되지 않은 드라마와 같은 예술적 매체를 사용해 공유된 상상의 극적 세계 또는 극적 상황을 창조하여 하나의 문제, 주제, 또는 일련의 관련된 아이디어나 주제들을 에피소드 식으로 또는 단위별로 전개하여 탐구해나간다는 점에서 그 전개방식에 있어 상당한 유사점이 발견된다. 이러한 사실은 결국 교육연극의 이론과 언어장애치료이론이 많은 부분 공유되고 있으며, 교육연극이 언어장애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교육연극을 이중언어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이중언어교육에 참여하는 모둠원들이 다문화권의 다언어 사용자라는 점에서 사용언어에 따른 모둠 구성― 모국어 사용자 모둠  모국어 + 외국어 사용자 모둠  다중언어 사용자 모둠  제2목표언어 모둠―과, 주제 내용― 한국의 사회․문화에 대한 주제  한국과 목표언어권의 사회․문화에 대한 주제  제3국가의 사회․문화에 대한 주제―에 따라 조절하여 단원별로 다양한 수업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연극이 본격적으로 국내에 소개된 때는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이고 최근 드라마는 교육현장에서 언어교수법이 되었고, 유아들의 성장발달을 돕는 매개체로 환영받고 있다. 그러나 교육연극이 급속하게 소개되는 과정에서 잘못된 이해와 해석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즉, 교육연극은 한편으로 연극을 가르치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극놀이를 통해 교과내용을 교육하는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있어왔다. 또한 교육연극에 대한 이론적인 도입에 급급한 나머지 그 실질적인 수행방법에 대한 실험적인 시도나 연구가 부족했던 것도 사실이다. 사실 대학입시를 위주로 하는 현행의 교육현장에 교육연극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정책상의 문제는 물론 교사들의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 교육연극교사의 경우 연극에 대한 이해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교육연극의 적용법을 실험하고 평가하기가 어려운 실정임을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언어교육에 활용되는 교육연극을 이중언어교육으로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한편으로 본 논고에서 제시된 적용법을 활용하여 그 효용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후속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The thesis is to look for the method of applying process drama for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This purpose can be resolved in three steps: first, to understand the purposes and functions of education changing to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to survey the need of bilingual education conformed to its purposes and functions; last,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ocess drama and seek the method of utilizing it to bilingual education.
    Recently, the Korean society is also changing to multicultural society with international marriages and immigrant workers. But they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in Korean, and their children have even the same. Under the basis of multiculturalism wanting peace and mutual respect between cultural groups, they have to be educated in equality. This is why the bilingual education is needed in our society.
    Process drama, a widely used term for educational drama in Britain, claims its effectiveness for L1, L2 and bilingual education, for the principal medium in drama is language and what drama delivers is related to meaningful human experiences. It is also supported on script theory of linguistic therapy.
    Kase-Polisini classifie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education drama into 1) planning, 2) playing and 3) evaluation. This process can be applied to educational drama for language as well. Rather, educational drama applying to bilingual education has even more availability with the varieties of group organization and subject matter. Conclusively speaking, the group of dual language schools can be organized into 1) mother-tongued group, 2) mother-tongued and L2 group, 3) multilingual group, or 4) L3 group in educational drama activity, as the class generally consist of the mixed multilingual children. And the subject matter can deal with 1) the Korean society and culture, 2) the society and culture of the purposed language country, or 3) the society and culture of the third n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