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석 류영모의 동서양 회통사상 연구 (Research on Dasŏk Ryuyŏngmo’s Thoughts of Communication between East and Wes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4.02
34P 미리보기
다석 류영모의 동서양 회통사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117호 / 39 ~ 72페이지
    · 저자명 : 강진석

    초록

    본 논문은 다석 류영모 사상의 중심축을 이루는 기독교 사상과 동양경전의 사상을 “회통(會通)”적 시각에서 조명하는 연구이다. 필자는 제2장에서 류영모의 생애와 그의 사상 전승의 맥락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다석의 회통사상을 “부자유친”, “신관(神觀)”, “성령론”, “사람”의 네 주제로 나누어 조명하였다. 다석의 부자유친 사상은 유교의 사천(事天) 사상을 기독교적인 시각에서 재해석해 낸 의의가 있다. 이로써 유교가 본래적으로 지녔던 사천 신앙을 새롭게 환기시킴과 동시에 기독교의 신인관계(神人關係) 사상을 유교적 사친(事親) 전통에 불어넣어 새로운 의미를 도출해 내었다. 다석의 신관(神觀)은 동양사상 중에서 유교와 도가가 지닌 태극, 허공, 무 등의 사상에 힘입어 기독교의 신관을 새롭게 해석해 내었다. 다석은 “없이 계시는 님”으로 하느님을 명명하여 기독교의 신관을 새로운 해석의 지평으로 이끌었다. “무극이태극” 사상의 도입은 다석 사상이 유일신관에서 다원진리로 나아갈 수 있는 사상적 단초를 제공하였다. 성령을 “얼김”으로 번역한 다석 사상은 동방적 신학의 새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된다. 다석은 맹자로부터 기론을 끌어오고 한얼 사상에서 “얼” 사상을 가져와 기독교 성령론을 동방적 신학으로 새롭게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류영모가 말한 “사ᄅᆞᆷ”은 생각 속에 담긴 말씀을 사뢰는 자로 이해되었다. 말씀을 사뢴다는 것은 날마다 나 자신을 산 제사로 드린다는 의미와 함께 말씀을 늘 묵상하고 실천하는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search on Dasŏk Ryuyŏngmo’s Thought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s a study that illuminates the Christian ideas and ideas of Eastern scriptures that form the central axis of Daseok’s thought from a “Communication(會通)” perspective. In Chapter 2, the author looked at the life of Ryuyŏngmo and the context of the transmission of his ideas. Chapter 3 sheds light on Dasŏk's Communication(會通) ideology by dividing it into four themes: “Friendship between father and son,” “View of God,” “Theory of the Holy Spirit,” and “Saram(사람).” Dasŏk's idea of "Affection between Father and Son(父子有親)" reinterpreted the Confucian idea of "Serving Heaven(事天)"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It can be derived from this that it evokes the original Confucian belief in "Serving Heaven" and at the same time injects the Christian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into the Confucian tradition of "Serving Parents(事親)". Dasŏk reinterpreted the Christian view of God through the ideas of Taekŭk(太極), Emptiness(虛空), and Nothing(無) that are common to Confucianism and Taoism in Eastern thought. Moreover, he named God "Mukŭk and Taekŭk(無極而太極)", deriving a new explanation. The introduction of the so-called "Mukŭk and Taekŭk" thought provides a clue that his thoughts can move from the view of one God to multiple truths. The idea of translating the Holy Spirit as "ŏlkim(얼김)" opened up new areas of Eastern theology. He drew closer to Mencius' theory of Qi(氣), introduced traditional Korean spiritual thought "ŏl(얼)", and rebuilt the Christian theory of the Holy Spirit. Finally, by "Saram(사람)" he is understood to be one who burns the Word in the meaning of thought. On the one hand, the burning of the "Holy Word(말씀)" means an act of daily sacrifice; on the other hand, it means the practice of daily meditation on the "Holy Wo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