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文科 교육에서의 多文化 敎育 方案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ing methods of Sino-Korean Classics Education)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9.12
21P 미리보기
漢文科 교육에서의 多文化 敎育 方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19권 / 1호 / 227 ~ 247페이지
    · 저자명 : 이동재

    초록

    최근 한국 사회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의 유입과 결혼 移民者 등으로 총인구의 2%를 넘는 다인종ㆍ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세워서, 이들을 한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을 시키고 있지만, 이는 우리 사회의 소수자인 이주민에 국한된 정책으로서, 다문화 정책의 방향으로는 부족한 점이 많다.
    多文化란 사회의 소수 구성원들이 가진 다양한 固有文化가 支配文化로 통합되기 보다는 각각의 고유성을 그대로 간직하며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다문화교육은 자신을 존중하고 남을 배려하는 寬容敎育이며, 사회의 그릇된 편견이나 고정관념에 대항하는 법을 배우는 人權敎育이기 때문에 한문과 교육과 많은 관련성을 가진다.
    한문과 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準據는 한문과의 교육목표에서 찾을 수 있다. 한문과 교육 목표는 人權 敎育, 反戰平和 敎育, 生態環境 敎育, 複數文化 敎育, 國際理解 敎育, 反偏見 敎育, 世界化 敎育 등과 관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문과 교육이 전통문화 교육에 초점을 두어, 민족의 동질성과 전통문화의 固守에 중심을 두었기 때문에 다른 문화를 이해하여야 한다는 교육목표가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他民族, 他文化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한문과 교육을 통한 다문화 교육에서는 세 가지 점을 유의하여 교육하여야 한다.
    첫째, 한문과 교육 내용이 ‘仁’과 같이 인간존중 사상과 이를 구현하는 ‘忠恕’와 같은 寬容敎育을 통해 민주적 이상을 지지하는 평등 指向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우리의 역사에서, 金忠善과 같은 외국에서 이주하여 성공한 사례와 우리 민족의 구성원이 외국에 나가 다른 문화에 적응하여 성공한 사례를 교육의 내용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한문과의 교육 내용은 인권 존중의식과 평등 의식이 主流를 이루지만 일부 내용 가운데 兩性平等에 어긋나거나 ‘單一民族’같이 우리 민족의 배타적 우월감을 드러내는 내용은 排除하여야 한다.
    나아가 현재의 한문과를 통한 다문화 교육은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아닌 내국인을 대상으로 이주민 문화의 多樣性과 異質性을 이해하고, 공존을 모색하는 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Multicultural society means a society where minorities’ diverse native cultures are not absorbed into the dominant culture but preserve their originality and coexist with other cultures. Multicultural education is education for respecting myself and being considerate of others, and is human right education for resisting wrong prejudices and fixed ideas and making peaceful decisions. Thus, it is closely related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groun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n be found in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Until now, howeve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traditional culture, aiming at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homogeneity and traditional culture and, for this reason, it has paid little attention to other races and cultures although one of its educational goals was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ccordingly,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three points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philosophies respecting human beings like ‘In (virtue),’ and focus on the realization of democratic ideals through tolerance education like ‘Chungseo (faithfulness and forgiveness).’
    Second, the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by including successful Korean immigrants like Kim Chung‐seon in Korean history who moved to a foreign country and achieved success or adapted themselves to foreign culture successfully.
    Third, the contents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re mainly about human rights and equality, but some of them deal with gender equality and suggest the exclusive superiority of Korean people as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Such contents should be excluded.
    Furthermore,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current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should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and heterogeneity of emigrants’ cultures and the coexistence of such culture, targeting native Koreans rather than emigra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