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웰다잉과 실존적 의사소통 (Dying Well and ‘Existentielle Kommunik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2.03
26P 미리보기
웰다잉과 실존적 의사소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72호 / 257 ~ 282페이지
    · 저자명 : 배정구

    초록

    삶의 시작은 곧 죽음의 시작이다. 죽음은 언제나 인간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다. 죽음은 떠난 사람과 남겨진 사람의 구분을 잠시간 허락하기는 하지만 결국 모두의 죽음을 상기시킨다. 다른 이의 죽음은 다시 나의 죽음에 초점을 맞추게 하고, 삶의 조건들을 하나씩 돌아보게 만드는 성찰과 반성의 역할을 다할 수 있게 된다. 죽음은 그렇게 다시 삶에 바탕이 될 수 있는 유의미한 연결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의료화 되고 문명화된 작금의 상황 속에서 죽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과거와는 사뭇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평균수명의 연장을 통해 죽음과의 거리가 더욱 벌어지게 되면서 죽음에 대한 소극적 태도 역시 강화‧확산되는 추세이다. 다행인 부분은 죽음에 대한 새로운 문제의식과 관점 역시 발현되고 있다는 점이며, 동시에 죽음에 대한 준비 및 교육의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웰다잉의 움직임은 죽음과 죽음 준비에 대한 입장만이 아니라 더 잘 살기 위한, 균형 있는 삶을 위한 웰빙의 개념과도 연결된다. 따라서 이제 웰다잉에 대한 관점을 죽음에만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더 잘살기 위한, 좋은 삶을 위한 부분들과 연관 지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이때 야스퍼스가 말한 실존적 의사소통은 죽음에 관한 우리의 편벽한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나의 나됨과 너의 너 됨을 위한 서로에 대한 열어젖힘을 골자로 하는 실존적 의사소통 그리고 그 소통을 가능케 하는 상황을 죽음 근처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동시에 죽음에 대한 우리의 치우친 상징을 다채롭게 가져가는 작업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eginning of life is the beginning of death. Death is always inseparable from our life. Death allows a brief division between the dead and the being, but eventually has the possibility to remind everyone of their death. The death of others makes me focus on my death. And it is also a reflection that makes me look back on my life. Death has a meaningful connection that can be based on life. However, in the current medicalized and civilized situation, our perception of death shows quite contrast, unlike the familiar appearance of the past. In addition, as the distance from death widens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average life expectancy, the passive attitude toward death tends to be further strengthened and spread. Fortunately, a new critical mind and perspective on death are also emerging,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movement in preparation and education for death. This movement of dying well is linked not only to the position of death and preparation for death, but also to the concept of well-being for a better and balanced life. Therefore, it is now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perspective of dying well in relation to the part for a better life and not limited to death. In particular, the ‘Existentielle Kommunikation’ that Jaspers said at this time can be recognized as an element that expands our biased thinking about death. ‘Existentielle Kommunikation’ aimed at being open to each other for myself and you, and the situation that enables that communication can be confirmed near death.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work that takes various symbols of our biased toward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