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패한 디아코니아와 ‘한 가지 필요’ -마리아와 마르다, 예수의 디아코니아 구조 (“A Failed Diakonia and ‘Henos Chreia’ -A Correlational Analysis of Diakonia among Martha, Mary, and Jesu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9.03
25P 미리보기
실패한 디아코니아와 ‘한 가지 필요’ -마리아와 마르다, 예수의 디아코니아 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논단 / 16권 / 1호 / 333 ~ 357페이지
    · 저자명 : 차정식

    초록

    마르다와 마리아의 이야기로 알려진 누가복음 10:38-42는 여러 각도에서 조명할 수 있다. 혹자는 직전의 선한 사마리아 사람 이야기와 연계시켜, 이웃사랑에 대비되는 하나님사랑의 관점에서 해석하기도 하고, 다른 이는 육신의 양식에 대하 욕망을 초월하여 ‘명상적 삶’의 스타일을 고무시키는 삽화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본 연구자의 논지는 이 이야기가 실패한 디아코니아의 역설적 교훈을 통해 당시 누가공동체가 직면한 상황을 타개해나가는 자아성찰용 자료라는 것이다. 당시 누가공동체는 음식공궤의 디아코니아와 말씀 청종 사이에 우선권 문제나 우열적 가치를 따지기보다 각자의 직무에 따른 ‘한 가지 필요’를 강조함으로써 번잡한 일에 얽매여 생기는 산만한 마음의 분열 상태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분열’(merimna)을 넘어 냉정한 초연의 자세와 마음의 평정을 추구한 스토아주의자들과 이와 유사한 틀에서 주를 향한 집중적 섬김을 강조한 바울과 달리, 누가의 예수는 이 이야기를 통해 어떻게 디아코니아의 과잉이 실패로 귀결되는지를 보여주려 한 것이다. 아울러, 이 이야기는 여성 제자도의 활성화와 그 위상에 대한 조율의 전략을 내포하고 있다. 예수운동과 초기 교회 내에서 여성들의 적극적인 디아코니아 참여는 자칫 그들을 소극적인 음식 봉사자로 묶어둘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누가의 예수는 여성들 역시 말씀으로 양육 받아 영적인 세계의 지식을 구비하고 그와 연관된 사명을 감당하길 원하셨다는 것이다. 그때 여러 가지 번다한 일로 마음이 산만하고 분열되어서는 평범하게 수행해온 그 디아코니아조차 실패로 끝나고, 비범하게 도전하는 말씀 사역의 미래 전망조차 어둡게 할 우려가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 가지 필요’(henos chreia)는 제자의 삶에 요청되는 자세를 부각시키면서 실천적 대안으로 제출되고 있다.

    영어초록

    The story of Martha and Mary(Lk 10:38-42) is usually interpreted as a medium to highlight the love for God vis-a-vis the love for neighbors reflected in the preceding story of the good Samaritan(Lk 10:25-37). Some other scholars view the story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contemplative life which was pursued in terms of enhancing spirituality. But I explore the same story as a self-reflective episode which foreshadows the Lukan community in which its members were preoccupied with the overwhelming issue on diakonia. They were then faced with a conflictual situation in which too many hassles on diakonia could drive the faith community in such an undesirable direction that weakens the ministry of the word of God. Divisive mind(merimna) therefore had to be settled in order to concentrate on one thing necessary to each person. Especially woman discipleship had to be vitalized so that early Christian women could also serve the role of preaching the gospel. In contrast to the Stoic concept of merima and adiaphora (or apatheia) and Paul's variation of the same concept, the Lukan Jesus responds to ‘one need’ of the faith community by articulating the need of one thing in a larger context of diakon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