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용운의 『불교대전』과 난조분유·마에다 에운의 『불교성전』의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Great Texts of Buddhism of Yongun Han and the Holy Texts of Buddhism of Bun’yu Nanjo and Eun Maed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08
35P 미리보기
한용운의 『불교대전』과 난조분유·마에다 에운의 『불교성전』의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43호 / 243 ~ 277페이지
    · 저자명 : 송현주

    초록

    본 연구는 한용운(韓龍雲)의 『불교대전(佛敎大典)』(1914)과 난조분유(南條文雄)와 마에다 에운(前田慧雲)의 『불교성전(佛敎聖典)』(1905)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한용운의 불교사상의 특징을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두 문헌 모두 근대 불교성전(Buddhist Bible)의 편찬 흐름 속에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불교경전이다. 이들은 여러 불교경전의 주요 내용을 발췌, 채록하여 구성한 초종파적, 종합적 성격의 경전으로서, 『화엄경』, 『열반경』, 『법화경』, 『무량수경』 등 다양한 경전의 내용을 망라하고 있다. 또 ‘국가’, ‘사회’, ‘박애’, ‘계급’, ‘위생’ 등 다양한 근대어들을 주요 항목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두 문헌은 근대 한국과 일본에서 불교경전을 새롭게 재편하고자 노력한 선구적 문헌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한용운의 『불교대전』은 일본의 『불교성전』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두 가지 면에 초점을 맞추어 두 문헌을 비교했다. 그 하나는 내용의 배치와 구성방식이며, 다른 하나는 인용경전의 비교이다. 결론적으로 『불교대전』과 『불교성전』은 그 내용과 형식에서 많은 공통점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리적 차원에서 『불교대전』과 『불교성전』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둘 다 ‘마음[心]’이 우주와 인간의 본체이며 인간에게 여래장과 불성이 있다고 보며, 『화엄경』과 『열반경』의 세계관을 공유하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불교성전』이 정토진종 특유의 ‘타력신앙’과 ‘참회’, ‘신심’을 강조하며, 『무량수경』계통의 경전을 인용하는 비율이 『불교대전』에 비해 4배에 이르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한용운의 『불교대전』의 독창성은 ‘신앙’의 차원에서 ‘발심’, 부처 만이 아니라 ‘보살’의 중요성, 그리고 일체 만유의 ‘평등성’과 ‘수학’, ‘수행’을 강조하고 있는 점이다. 그것은 부처와 보살과 일체중생의 평등을 강조하는 ‘평등주의적 세계관’과, ‘발심’과 ‘발원’을 통한 인간의 주체적 자각을 강조하는 한용운의 기본 사상을 반영한다. 또한 『불교대전』의 목차구성에서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유가적 성격도 발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Great Texts of Buddhism(佛敎大典, 1914) of Yongun Han(韓龍雲) by comparing with the Holy Texts of Buddhism(佛敎聖典, 1905) of Bun’yu Nanjo(南條文雄) and Eun Maeda(前田慧雲). These modern Buddhist Bibles have appeared in the Modern Era to make one concise and simple Buddhist canon. The Great Texts of Buddhism by Yongun Han is a product of the flow of the modern Buddhist Bibles as well as a unique accomplishment of modern Korean Buddhism. Han’s Bible is arranged and structured by the original idea of Han, but his book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Holy Texts of Buddhism.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two aspects of the texts. One is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and the other is the Buddhist scriptures these texts cite. In the conclusion, the two texts have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well.
    On the doctrinal dimension, these two texts show the almost same Buddhist world view. They see ‘the mind(心)’ is the most important reality of the universe and humankind. They think every human-being has 'Buddha nature(佛性)' and 'buddhadhatu(Tathagata garba, 如來藏)’. Their basic doctrines rely on Avatamsaka Sūtra(華嚴經) and Mahāparinirvāna Sūtra(涅槃經).
    On the contrary, they show big differences as well. The Holy Texts of Buddhism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belief in the Other Power(他力信仰) of Amitabha Buddha and 'repentence' and 'faith'. It also cites the scriptures of the Pure Land(Sukhāvatī, 淨土) Buddhism many times much more than the Great Texts of Buddhism does. All these facts tell us that it has a strong feature of the authors' belief, that is, the faith of Jōdo Shinshū(淨土眞宗).
    The Great Texts of Buddhism of Han stresses the importance of resolution(spiritual awakening, 發心), self-discipline, autonomy and meditation of Buddhist practitioner. It also sets a high value on 'Bodhisattva Ideal' as much as 'Buddha Ideal', and stresses 'the equality of all beings' of the universe. Han’s book also shows us a Confucian aspect that is included in the ethical dimension of his Buddhist faith. Accordingly, Han's text shows that he made the text by follow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Holy Texts of Buddhism, but at the same time, he transformed it by his own creative thought and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