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多文化) 시조(時調)의 사회적 소수자 수용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Adoption of Social Minorities in the Multicultural-sijo(時調))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9.03
24P 미리보기
다문화(多文化) 시조(時調)의 사회적 소수자 수용 양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29호 / 65 ~ 88페이지
    · 저자명 : 김성문

    초록

    한국사회는 2008년 이후 급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해 가기 시작하여 10여 년이 지난 지금, 한국사회는 오롯이 다문화사회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다문화는 이제 우리의 일상 깊숙이 자리를 잡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10년 전과는 다르게, ‘茶文化’보다 ‘多文化’를 더 자주 접하게 되었으며, 매스컴을 통해서 거의 하루도 거르지 않고 다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접하고 있는 현실을 통해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새로운 문화와의 조우와 새로운 사회로의 진입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다양한 갈등이 생겨나기 마련이다. 이는 다문화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따라서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과정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갈등 상황을 효율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현상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인바, 본고는 문학적인 측면, 특히 다문화를 형상화한 시조를 중심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문학의 정수로 일컬어지는 시조는 ‘時節歌調’로서 예로부터 변화하는 당대의 시대상을 즉각적이고도 충실하게 반영한 문학양식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사회의 소수자, 특히 결혼이주여성들을 바라보는 우리의 현주소를 확인하는데 있어 유용한 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의를 통해서 다문화 시조의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결혼이주여성 수용 양상을 크게 차별과 배제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경우와 조화와 공존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경우로 나눌 수 있었다. 전자의 경우에는 여전히 우리 사회로 틈입한 그들을 우리 고유의 순수성과 전통성을 저해하는 부정요소로 인식하고, 그들과 우리의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후자의 경우에는 그들과 우리가 똑같은 인간이라는 대전제를 공유하면서 서로의 차이를 개성으로 인정하고, 나아가 그들을 우리와 함께 아름다운 공존을 모색하는 조화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와 관련한 시조가 창작되기 시작한 것이 어느새 30년이 되었지만, 아직도 그들을 차별화 배제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곱씹어 보아야 할 대목이다. 본 논의가 그 계기를 마련하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영어초록

    Korean society has rapidly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2008, and is now taking its place deep into our daily lives. Unlike ten years ago, we were exposed to '多文化' more often than '茶文化,' and through the mass media, we were able to get access to multi-cultural content almost a day. But encounter with new cultures and entering a new society inevitably leads to a lot of conflict in the process This is no exception in the case of multiculturalism. Thus, in order to effectively adjust the various conflict situations caused by the process of entering a multicultural society, the main building was intended to focus on literary aspects, especially the Sijo that shaped multiculturalism.
    The essence of Korean literature is '時節歌調,' which can be a useful framework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of Korean society, especially those who see the minority of Korean society, especially those who are married, in terms of literary styles that reflect the changing times of the past.
    Through this discussion, marriage acceptance patterns as a social minority of multicultural-Sijo could be divided into those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nd those of harmony and coexistence. In the former case, we could confirm that we still recognize them as negatives that undermine our inherent purity and traditionality, and do not recognize our 'difference' from them. Next, we could see that in the latter case, they and we shared the same great premise of human beings, recognizing each other's differences as personalities, and looking at them as objects of harmony that seek to coexist beautifully with us. Although it has been 3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creation of a multicultural-Sijo, it is a matter to ponder that they are still often recognized as objects of discriminatory exclusion. I hope that this discussion will serve a little bit to bring about the occa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