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용묵의 「백치 아다다」에 대한 인물 분석 (Character analysis of Kye Yong Muk’s “Adada, the Idio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9.08
27P 미리보기
계용묵의 「백치 아다다」에 대한 인물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50권 / 183 ~ 209페이지
    · 저자명 : 신승희

    초록

    본 논문에서 필자는 계용묵의 백치 아다다를 크게 세 방향으로 분석했다. 주인공 아다다가 진정한 의미의 백치인가? 아다다가 피해자인가? 남편과 수롱이 가해자인가? 등이다. 이 작품에는 아다다, 남편, 수롱이 주인물로 등장하고 소인물로는 아다다의 부모, 시부모 등이 등장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눈에 띄는 것은 인물의 기계적 양분화이다. 즉 피해자, 가해자의 구도를 보이고 있다.
    우선 피해자 아다다는 동시에 순수함・아름다움・인간다움의 모습을 지닌 인물로 평가하고, 가해자인 남편과 수롱은 배금주의・물질우선주의・황금만능주의의 성향을 가지고 있는 탐욕적인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아다다가 남편의 폭력과 학대를 견디지 못하고 친정으로 쫓겨온다. 그 후 아다다가 수롱과 가까워지면서 사실혼 관계로 발전한다.
    남편이 아다다를 구타하고 학대함으로써 친정으로 쫓아보낸다. 가해자임에 틀림없다. 또한 수롱이 아다다를 두 차례 가격함으로써 죽음에 이르게 된다. 가해자임에 틀림없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두 가해자의 가해의 근거로 배금주의・물질우선주의・황금만능주의를 지적하고 있다. 필자는 그 가해의 근거가 과연 배금주의・물질우선주의・황금만능주의에 의한 것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가해의 근거가 그렇게 고정된 이유가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한다.
    남편과 수롱이 배금주의・물질우선주의・황금만능주의에 의한 가해자라는 등식은 이 작품이 식민지적 자본주의의 정착기인 1930년대의 대표적 문학작품이라는 인식이 내재해 있다고 볼 수 있다. 문제는 자본주의화에 따르는 사회적 현상으로 볼 수 있는 배금주의・물질우선주의・황금만능주의를 남편과 수롱에게 기계적으로 대입한 결과로 보인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 Kye Yongmuk’s “Adada, the Idiot” (Baekchi Adada) with three questions; Is Adada a real idiot? Is Adada a victim? Are her husband and Surong perpetrators? The main characters of the short story are Adada, her husband and Surong. The other characters are her parents and parents-in- law. The previous studies in the perspective of the characters analysis of the text have been based on mechanically in terms of dichotomy between the victim and the offender.
    First of all, Adada, the victim, is regarded as a person of pureness, beauty and humanity. Her husband and Surong, the perpetrators, are greedy people who stand for mammonism and materialism. She is violently mistreated and the subject to daily verbal and physical abuse treatment. She couldn’t endure the beatings of her husband. Finally, she is sent back her parents’ house. Then, she is on intimate terms with Surong and becomes a common-law wife of him.
    The husband beats and abuses her and then forces her to go her parents’ home. He must be one of abusers in the text. Surong also leads her to death by hitting her at two times. He also must be the other one. The previous studies have explained that the source for the immorality of them is based on mammonism and materialism.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whether the reason of two men’s violence is rooted in mammonism and materialism or not and why the most studies on this story attribute the source of their violence to mammonism and materialism.
    The central issue I was concerned with is the perspective that they are perpetrators produced by mammonism and materialism seems to be due to the fixed idea that this novel is a representative literary work of the 1930s, the period of colonial capitalism in Korean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