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多)문화사회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간 -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신학적 인간론의 모색 (A Human Being in the Perspective of a Multicultural Society: Seeking a Trinitarian Multicultural Theological Anthropolog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9.11
27P 미리보기
다(多)문화사회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간 -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신학적 인간론의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64권 / 227 ~ 253페이지
    · 저자명 : 백충현

    초록

    한 사회 안에서 외국인 거주자의 비율이 5%를 넘으면 “다문화사회(多文化社會, multi-cultural society)”라고 규정하는데, 한국은 2018년 말을 기준으로 체류외국인이 약 234만 명으로 전체인구 중에서 4.5%를 넘어섰다. 지금까지의 가파른 증가폭을 고려하면 조만간 체류외국인 비율이 5%를 넘어서서 다문화사회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다(多)문화에 대한 한국사회와 한국인들의 인식은 매우 열악하다. 여성가족부가 수행한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따르면, 다(多)문화공존에 대한 찬성비율이 36%에 불과하여 유럽의 74%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다. 그러기에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는 다(多)문화에 대한 인식을 크게 개선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신학적 인간론”을 모색한다. 먼저, 본 논문은 먼저 다(多)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이와 관련된 여러 통계조사 자료들을 검토한다. 그런 다음에, 다(多)문화와 관련하여 성서적, 교회사적 등등의 논의들을 검토하면서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신학을 개괄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신학적 인간론을 모색한다. 삼위일체 하나님 자신이 다(多)문화적이시며, 또한 이러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창조세계 전체가 다(多)문화적이다. 다(多)문화성 자체는 하나님의 본질과 특성일 뿐만 아니라, 인간과 사회의 존재의 원리이며, 또한 세계의 가능성과 당위성이다. 그러기에 인간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인간론도 또한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인간론이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의 논의를 통하여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 안에 다(多)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이 개방성, 관계성, 다양성, 보편성의 관점에서 확산될 것이며, 이것은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를 정신적으로 더 풍성하게 하여 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또한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의 오랜 적폐로 지적되어온 수직적 위계질서의 구조를 수평적 상호존중의 구조로 변화시켜줄 것이며, 이로 인하여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가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더 온전히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 multicultural society refers to a society where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exceeds 5% of the whole population. At the end of 2018, Korea has around 2.34 million foreign residents, which was more than 4.5% of the entire population. Considering the steep increase until now, Korea would soon go beyond 5% in the number to be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an awareness about multiculture in Korean society and people is very low.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on ‘Korean Acceptance of Multiculture,’ only 36% of the whole population agree to multicultural coexistence, which is markedly low in comparison to 74% in Europe. Thus Korean society and church are require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multiculture greatly.
    Considering such a point, this paper tries to seek “a Trinitarian Multicultural Theological Anthropology.” First, it examines several statistical survey data to grasp Korean current situation in terms of multiculture. Then, while examining biblical and church historical discussions on multiculture, it provides an outline of a trinitarian multicultural theology. Finally, it goes further to seek a trinitarian multicultural theological anthropology. The Trinity is a multicultural God, and the whole world created by the Triune God is itself multicultural. Multiculture itself is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 of the Triune God, and it is also a principle of human beings and society. In this regard, multiculture is both pos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world. Thus anthropology as an exploration of human identity should be also trinitarian and multicultural.
    This paper could contribute greatly to the spread of Korean awareness about a multicultural society in terms of openness, relationality, diversity, and universality, thereby enriching Korean society and church mentally. And it, in turn, could contribute much to solve deep-rooted problems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by transforming their vertical hierarchy into horizontal structure of mutual respect in order that they might manifest the aspects of the Kingdom of God more fu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