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古音 多音字의 類型에 대한 고찰-聲類를 중심으로- (On the types of multi-sound characters in Old Chinese: Focusing on initial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7.12
20P 미리보기
中古音 多音字의 類型에 대한 고찰-聲類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학연구 / 54호 / 169 ~ 188페이지
    · 저자명 : 이경철, 오채현

    초록

    본고에서는 聲母에 차이가 있는 중고음(AC)의 多音字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 분석을 통해 상고음의 音韻體系 및 상고음(OC)에서 중고음(AC)으로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1)多音字의 유형 중에서 OC의 音韻體系 및 OC에서 AC로의 변화가 동일한 언어체계에서의 자연스러운 音韻變化에 해당하는 것에는 [牙喉音과 齒音의 互用, 舌音과 破擦音系 齒音의 互用, 泥母와 日母의 互用]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聲韻學 연구를 통해서도 대부분 입증된 사항이다.
    2)OC의 音韻體系 및 OC에서 AC로의 변화가 동일한 언어체계에서의 音韻變化로 볼 수 없는 것으로 [無聲音과 有聲音의 互用, 無氣音과 有氣音의 互用, 有聲音과 有氣音의 互用, 牙音과 喉音의 互用, 破擦音系 齒音과 摩擦音系 齒音의 互用, 摩擦音系 齒音과 于母・喩母의 互用, 서로 다른 音系의 互用, 齒頭音과 正齒音의 互用, 日母와 疑母의 互用, 喩母와 來母의 互用] 등 여러 가지 유형이 드러났다. 이를 통해 多音字는 中原에서 흥망성쇠한 여러 민족의 音韻體系가 서로 간에 접촉을 겪으면서 그 흔적이 남게 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3)有聲音과 無聲音의 互用, 有氣音과 無氣音의 互用을 통해 有聲・無聲音의 구별체계를 가진 언어와 有氣・無氣音의 구별체계를 가진 언어가 각각 따로 존재했었으며, 이 두 언어가 OC의 오랜 기간에 걸쳐 중아어의 위치를 점하거나 빼앗기거나 하며 교차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有聲音과 有氣音의 互用를 통해 有聲・無聲音의 구별체계를 가진 언어의 有聲音이 有氣・無氣音의 구별체계를 가진 언어에서 有氣音으로 대체된 것으로 판단된다.
    4) 舌音・齒音・喩母의 互用를 통해 舌音 > 破擦音系 齒音 > 摩擦音系 齒音 > 喩母라는 변화과정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多音字의 변화유형은 聲符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摩擦音系 齒音이 喩母로 변화된 것은 有聲音에 한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는 有聲・無聲音의 구별체계를 가진 언어에서만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5) 여러 音系에 걸친 多音字의 존재를 통해 OC에서 語頭複數子音이 존재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는 OC의 초기 형성과정에 고대 알타이어나 고대 한국어가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有氣音은 h가 포함된 語頭複數子音에서 성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밖에도 알타이어의 영향으로 의심되는 것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多音字의 유형별 분석을 통해 OC에서 크게 두 가지 이상의 언어체계가 존재했었으며, 각각 그 고유의 音韻體系를 지키면서도 다른 언어체계의 영향을 받으면서 AC에 이르렀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AC 이후 CC에 이르는 중국어의 역사도 단일 언어체계 내에서의 변화로 해석할 수 없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

    영어초록

    I classified the types of multi-sound characters in old Chinese mainly focusing on Initials, and investigated the phonology system of ancient Chinese and showed how ancient Chinese changed to old Chines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It seems that natural phonological changes in one language system include exchange between velars-laryngeals and dentals, exchange between linguals and affricate dentals and exchange between n and ɳ.
    (2) It cannot be seen as natural phonological changes in one language system that exchange between voiced sounds and voiceless sounds, exchange between aspirated sounds and unaspirated sounds, exchange between voiced sounds and aspirated sounds, exchange between velars and laryngeals, exchange between affricate dentals and fricative dentals, exchange between fricative dentals and vowels, exchange between consonants, exchange between palatal dentals and non-palatal dentals, exchange between ɳ and vowels, and exchange between l and vowel j. In my view, these phenomena occurred through contacts with various phonological systems in many different language groups.
    (3) It is deemed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main language groups in ancient Chinese: One group distinguished between voiced sounds and voiceless sounds and the other distinguished between aspirated sounds and unaspirated sounds. Further, I presume that voiced sounds in the language group that had the voiced-voiceless distinction changed to aspirated sounds in the language group that had the aspirated-unaspirated distinction.
    (4) It is thought that the changing process of linguals was linguals > affricate dentals > fricative dentals > vowel j. However, exchange between fricative dentals and vowels occurred in the language group that distinguished between voiced sounds and voiceless sounds because only voiced fricative dental sounds changed to vowel j.
    (5) I view that Ancient Chinese was affected by Altaic languages or Proto-Korean because there were double consonants and the consonants ɳ・l exchanged with vowels in ancient Chine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