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있다’의 품사에 대한 재고찰 (Re-consideration. about parts-of-speech of ‘있다’)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3.03
28P 미리보기
‘있다’의 품사에 대한 재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의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어 의미학 / 79권 / 28 ~ 55페이지
    · 저자명 : 이성우

    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part of speech of ‘있다,’ the Korean word for ‘to existentially be,’ and identifies it as an adjective. To this end, it reviewed previous topics of discussion, and examined the uses of the word. Then, this study approached the unique usage patterns of the wor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discussed topics largely fall into two categories. Firstly, this essay argues that the word, ‘있다,’ in its conjugated usage at a sentence’s end, is much closer to an adjective than a verb. Moreover, in previous discussions, it was argued that, in order for the word to be used like a verb, the subject must be an animate noun. However, this study takes another step forward in purporting that, even if the subject is an animate noun, the word ‘있다’ maintains its ambiguity as a possible adjective and possible verb. Based on this, it is argued that the cases in which the word appears to be verb-like is very limited. Secondly, this essay argues that the use of the word ‘있다’ in its adnominal form seems like a verb in appearance, but is somewhat distinct from a verb. The use of locative case markers‘-에서’ and ‘-에’ are presented as evidence. Additionally, in order to elaborate further on this argument, it is explained how it is possible for the word ‘있다’ to be combined with the pre-final ending‘-느-.’ To this end, combinations with ‘잇-/이시-’ and ‘-ᄂᆞ-’ found in Korean language historical materials were discussed. After presenting the high frequency of these combinations and, on those grounds, drawing attention to the semantic qualities, or constancy, that is retained by existing predicates, it was derived that the reasons for why there is a high frequency of ‘잇-/이시-’ and ‘-ᄂᆞ-’ combinations lie in semantic drivers.

    영어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part of speech of ‘있다,’ the Korean word for ‘to existentially be,’ and identifies it as an adjective. To this end, it reviewed previous topics of discussion, and examined the uses of the word. Then, this study approached the unique usage patterns of the wor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discussed topics largely fall into two categories. Firstly, this essay argues that the word, ‘있다,’ in its conjugated usage at a sentence’s end, is much closer to an adjective than a verb. Moreover, in previous discussions, it was argued that, in order for the word to be used like a verb, the subject must be an animate noun. However, this study takes another step forward in purporting that, even if the subject is an animate noun, the word ‘있다’ maintains its ambiguity as a possible adjective and possible verb. Based on this, it is argued that the cases in which the word appears to be verb-like is very limited. Secondly, this essay argues that the use of the word ‘있다’ in its adnominal form seems like a verb in appearance, but is somewhat distinct from a verb. The use of locative case markers‘-에서’ and ‘-에’ are presented as evidence. Additionally, in order to elaborate further on this argument, it is explained how it is possible for the word ‘있다’ to be combined with the pre-final ending‘-느-.’ To this end, combinations with ‘잇-/이시-’ and ‘-ᄂᆞ-’ found in Korean language historical materials were discussed. After presenting the high frequency of these combinations and, on those grounds, drawing attention to the semantic qualities, or constancy, that is retained by existing predicates, it was derived that the reasons for why there is a high frequency of ‘잇-/이시-’ and ‘-ᄂᆞ-’ combinations lie in semantic driv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