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의한 닝수궁(寧壽宮) 공간의 관광전략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of Touristic Strategies in the Spatial Analysis of Ning Shou Palace Using Space Syntax)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3.06
12P 미리보기
공간구문론(Space Syntax)에 의한 닝수궁(寧壽宮) 공간의 관광전략 가능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4호 / 527 ~ 538페이지
    · 저자명 : 한한, 김영진, 김주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문화 관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전통 건축이 계속해서 사라지는 것은 무시할 수 없는 모순이 되었다. 전통건축은 현대적인 활용 측면에서도 자체적인 예술적, 문화적, 교육적 가치 때문에 공간적 가능성이 높다. 도시 계획 및 건축 설계 분야에서 공간 구문의 광범위한 적용은 전통건축의 현대적인 활용을 위한 새로운 발전 기회를 제공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구문론 이론 및 방법을 적용하여 베이징 고궁인 닝수궁 건축군의 공간적 특성과 문화관광의 잠재력을 탐색하고, 현대적인 활용 및 관광 개발을 위한 이론적인 지원과 실제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공간구문론 이해를 위해 닝수궁에 대한 이론적 조사를 수행한다. 닝수궁의 공간형태에 따라 공간 요소를 구분하고, 볼록 공간도와 위상 관계도를 제작한다. 이를 위해 Auto CAD에서 그려진 볼록 공간도를 DepthmapⅩ에 가져온 후, 각 공간 요소를 연결하여 위상 관계도에 따라 볼록 공간 연산을 수행한다. 각 공간의 선택도, 연결도, 통합도, 그리고 글로벌 깊이 값을 측정한 후 종합 점수를 매기고, 이를 평가 척도로 사용한다. 이를 통해 닝수궁의 공간적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평가하며,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 대한 향후 닝수궁 건축군의 공간계획을 예측한다. 연구범위 연구내용은 영수궁의 공간 형태분석과 공간 구문론 분석으로 분석결과를 통해 닝수궁의 공간 활용을 최적화한다. (결과) 연구에 따르면 닝수궁은 6개의 주요 공간 영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영역의 공간 노드를 기반으로 닝수궁의 20개 공간 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20개 공간 요소 간의 연결을 통해 닝수궁 지역의 위상 관계를 도출하였다. 공간 구문 분석을 통해 가장 높은 공간적 가능성을 갖는 구역은 양성문 구역이며, 그 뒤를 이어 황극전 구역과 양성전 구역으로 나타났다. 선택도, 연결도, 평균 깊이도, 통합도의 종합순위가 가장 높은 3개 구역(양성문, 황극전, 양성전)은 닝수궁의 핵심 구역으로서 관광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다. 또한 종합 순위가 가장 높은 5개 구역(양성문, 황극전, 양성전, 낙수당, 이화헌)을 연결하여 닝수궁의 관광 및 이용 가능성이 높은 관광 축을 형성할 수 있다. 향후 핵심축을 중심으로 한 관광 기획을 통해 닝수궁 지역의 관광 체험을 향상시키고 관광객의 효율을 높이며, 닝수궁의 관광 자원을 더욱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본 연구는 닝수궁의 건축형태와 공간구문론 분석을 통해, 닝수궁의 미래 현대적인 관광 산업 발전을 위한 적절한 지도와 건의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닝수궁 공간의 미래 공간계획 설계에 일정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raditional architecture plays a crucial role in cultural tourism, but it faces the challenge of disappearing. In today's world, traditional architecture holds immense spatial potential due to its artistic,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s. The application of spatial patterns in urban planning and architectural design presents new opportunities for utilizing traditional architecture in contemporary contexts.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tourism potential of Beijing's Ningshou Palace complex within the Forbidden C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its spatial syntax. (Method) In this research, Ningshou Palace is theoretically investigated to understand its spatial syntax. By analyzing the spatial morphology, a spatial map and correlation map of convex surfaces are created. Using AutoCAD and Depthmap X, the convex space map is imported and connected based on the phase relationship map. Selectivity, connectivity, consistency, and global depth values are measured for each space and used as evaluation criteria. The study evaluates the areas with the highest spatial potential in Ningshou Palace and predicts the future spatial planning for these areas. The research scope includes analyzing the spatial morphology and spatial syntactic analysis of Ningshou Palace, with the aim of optimizing its spatial utilization. (Results) The results reveal that Ningshou Palace can be divided into six main spatial regions, and a total of 20 spatial elements are identified based on the spatial nodes in each region. The topological relationship among these elements provides insights into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Ningshou Palace. The analysis identifies the Yangxingmen area as having the highest spatial potential, followed by Huangji Temple and Yangxing Temple areas. The three regions with the highest overall selectivity, integrity, and depth (Yangxingmen, Huangjijeon, and Yangxingjeon) form the core of Ningshou Palace, presenting the greatest potential for tourism utilization. Moreover, the top five regions (Yangxingmen, Huangjijeon, Yangxingjeon, Yangxingtang, and Yihexuan) are interconnected, forming a prominent tourist axis within Ningshou Palace. Future tourism planning can focus on this core axis to enhance the visitor experience, improve efficiency, and showcase the tourism resources of Ningshou Palace.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re of utmost importa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tourism industry. This study emphasizes the potential of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is regard and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comprehensive spatial analysi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spatial planning and design.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need to incorporate artistic,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s in the preservation and modern utiliz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e.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guidance for policymakers, planners, and designers in formulating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si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