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3세기 베긴공동체 여성신비가 막데부르크의 메히트힐트의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신학적 인간학: 여성주의 시각에서 조명하는 정치적 신비주의 (A Beguine Woman Mystic of the 13th Century, Mechthild of Magdeburg’s Theological Anthropology as the Image of God : The Political Mysticism of Beguine Women Mystics in the Light of the Feminist Persp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0.12
32P 미리보기
13세기 베긴공동체 여성신비가 막데부르크의 메히트힐트의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신학적 인간학: 여성주의 시각에서 조명하는 정치적 신비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과 인식 / 44권 / 4호 / 77 ~ 108페이지
    · 저자명 : 김정숙

    초록

    본 논문은 13세기에 활동했던 베긴공동체 여성신비가 막데부르크의 메히트힐트와 그의 유일한 저작 「신성의 흐르는 빛」을 비판적으로 해석하여 ‘하나님 형상으로서의 신학적 인간학’이라는 신학적 주제로 재구성하고자 했다. 극심하게 성차별적으로 구조화된 중세시대에 여성들이 자신의 이름으로 저술하고 활동할 수 있었던 유일한 공적 틈새 공간이 바로 신비주의였다. 당시 추상적이며 사색적인 언어로 쓰인 스콜라주의 작품들과는 달리, ‘환상’과 ‘비전’ 그리고 ‘초현실적 언어’로 쓰인 여성신비가의 작품세계는 전형적인 여성혐오시각에서 가치 편파적으로 부정당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중세라는 종교정치사회적인 시대적 상황에서 산출된 평신도 여성들의 신비주의 작품을 여성주의적인 시각에서 해석함으로써 막데부르크의 메히트힐트를 스콜라주의적 신비주의나 제도권 수녀들과 구분하는 의미에서 제3의 신학자로 명명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store the history of women who have been ignored and forgotten, and to reconstruct the theological thoughts of women who have been fragmented and scattered. I hence critically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Flowing Light of the Godhead as the only work of Mechthild of Magdeburg of the 13th century, and was able to reconstruct the theological them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as the Image of God.” In the severely sexist structured medieval era, when patriarchal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s, and male-centered religious power dominated all domains, mysticism was the only public domain in which women could write and act in their own name. However, unlike the abstract and speculative language of scholastic men at the time, the academic values of the works of women mystics written in images, visions and surreal language were ignored. Hence, through a feminist perspective I critically analyzed space between lines, and integrated the meaning of ‘The Flowing Light of the Godhead’ so that I was able to name a beguine woman mystic of the 13th century, Mechthild of Magdeburg as the prominent scholar of the Third group of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I also could reconstruct Mechthild’s theological anthropology of the Image of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과 인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