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와 동학(東學)의 대화: 눅 10:25-26의 “하나님 사랑 ‧ 이웃 사랑”과 수운(水雲)의“ 시천주(侍天主) ‧ 고아정(顧我情)”에 대한 비교 연구 (A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Donghak: Comparative Study on Jesus’ Double Love Command(Lk 10:25-26) and Suwoon’s “Shi-Chun-Ju” and “Go-Ah-Jung”)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09
30P 미리보기
기독교와 동학(東學)의 대화: 눅 10:25-26의 “하나님 사랑 ‧ 이웃 사랑”과 수운(水雲)의“ 시천주(侍天主) ‧ 고아정(顧我情)”에 대한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81권 / 331 ~ 360페이지
    · 저자명 : 정종성

    초록

    This article concerns with a religious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Donghak(東學), triggering the spirit of co-reliance and inclusion, in terms of Jesus’ “Double Love Command”(love of God and love of neighbor) in Luke and Suwoon's(水運, the founder of Donghak) teachings on Shi-Chun-Ju(侍天主, “serving God within the body”) and Go-Ah-Jung(顧我情, “reflecting one's self”). The pre-Christian and contemporary traditions on the double love command, along with the synoptic parallels, is first analyzed and explored how they would give impact on the Lukan context by the formulation of the single code (that is, love of neighbor), and why Luke links the single code with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s it is(10:30-37). Suwoon's teachings on Shi-Chun-Ju and Go-Ah-Jung is also investigated in the same direction that serving God is not other than the very service on humanity on earth, like serving the invisible God by serving the visible human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Shi”(侍, i.e., serving within the body), highlighting the entire religio-philosophy of Donghak, is interpreted as to have been already rooted in his teaching on Bulyeon-Giyeon(不然 其然, i.e., affirmation and negation revolves around simultaneously to each other). As the way Luke interprets the love of God in the love of humanity by accompanying with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Suwoon's Shi-Chun-Ju and Go-Ah-Jung awakened his disciples to realize that human body is not to be separately reduced by a physical, spiritual and mental entity, but as a whole one, to the extent that humanity in itself is “now and here”(Ji-Gi-Gum-Ji, 至氣今至) to be honored as much as serving God.

    영어초록

    This article concerns with a religious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Donghak(東學), triggering the spirit of co-reliance and inclusion, in terms of Jesus’ “Double Love Command”(love of God and love of neighbor) in Luke and Suwoon's(水運, the founder of Donghak) teachings on Shi-Chun-Ju(侍天主, “serving God within the body”) and Go-Ah-Jung(顧我情, “reflecting one's self”). The pre-Christian and contemporary traditions on the double love command, along with the synoptic parallels, is first analyzed and explored how they would give impact on the Lukan context by the formulation of the single code (that is, love of neighbor), and why Luke links the single code with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as it is(10:30-37). Suwoon's teachings on Shi-Chun-Ju and Go-Ah-Jung is also investigated in the same direction that serving God is not other than the very service on humanity on earth, like serving the invisible God by serving the visible human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Shi”(侍, i.e., serving within the body), highlighting the entire religio-philosophy of Donghak, is interpreted as to have been already rooted in his teaching on Bulyeon-Giyeon(不然 其然, i.e., affirmation and negation revolves around simultaneously to each other). As the way Luke interprets the love of God in the love of humanity by accompanying with the parable of the Good Samaritan, Suwoon's Shi-Chun-Ju and Go-Ah-Jung awakened his disciples to realize that human body is not to be separately reduced by a physical, spiritual and mental entity, but as a whole one, to the extent that humanity in itself is “now and here”(Ji-Gi-Gum-Ji, 至氣今至) to be honored as much as serving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