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나님은 왜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 인류를 구원하기를 원하셨는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구원론: 『신학대전』 제 3부를 중심으로 (Why did God want to save the humanity through the death of Chris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7.12
30P 미리보기
하나님은 왜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 인류를 구원하기를 원하셨는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구원론: 『신학대전』 제 3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세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세철학 / 13호 / 197 ~ 226페이지
    · 저자명 : 손은실

    초록

    하나님이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 인류를 죄로부터 구원하신다는 것은 성서에 계시된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에 속한다. 하지만 이 신앙 조항(articulus fidei)은 인간 이성의 눈에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나님은 다른 방법으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왜 자신의 죽음을 통해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사람이 되셨는가?” “어떻게 성부가 자신의 사랑하는 아들을 죽음으로 내몰거나 혹은 그것을 허용할 수 있었는가?” “도대체 어떤 정의에 의해 가장 의로운 자를 죄인을 위한 죽음으로 내몰 수 있는가?” 이 질문들은 그리스도의 육화(肉化)의 신비를 이성을 통해 이해하려는 시도에서 획기적인 저작으로 간주되는 안셀무스의 왜 하나님-인간(Cur Deus Homo,1098)에 나온다. 안셀무스는 이 문제들에 답하면서 ‘하나님-인간’이신 그리스도의 죽음에 의한 인류 죄의 보속(補贖, satisfactio)은 신의 정의와 양립 가능한 인간 구원의 길이었음을 보여준다. Cur Deus Homo가 나온 지 수십 년 후에 아벨라르두스는 무고한 희생자를 통한 보속은 부정의한 것이 아니냐는 문제를 날카롭게 제기하였다. 그는 자신의 로마서 주석 (1133-1140)에서 하나님의 아들을 죽이는 것은 인간이 저지른 원죄보다 더 큰 범죄로서 하나님의 분노를 받아 마땅하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죽음을 인간을 죄로부터 구속(救贖)하기 위한 속전(pretium)으로 이해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한다. 그 대신, 그는 그리스도의 수난을 통한 인간의 구원을 그리스도의 최상의 사랑의 드러남으로 이해한다. 이 두 신학자의 입장을 모두 잘 알고 있었던 토마스 아퀴나스(1224/1225-1274)는 전자처럼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전자처럼 신의 정의의 요구를 중심으로 생각하는가? 아니면, 후자처럼 신의 사랑의 표현이라는 점을 강조하는가? 아니면, 두 입장을 동시에 수용하는가? 또한, 방금 위에서 언급된 보속문제가 함축하고 있는 난제들에 대해서 그는 어떤 해답을 제시하는가?이상의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해서 본고에서 우리는 토마스가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역에 대한 자신의 체계적이고 최종적인 입장을 전개하는 신학대전 III부, 문제 1-59, 즉, 그리스도론에 할애된 문제들을 중심적으로 분석한다. 이 분석을 통해 우리는 토마스가 정의, 사랑 두 속성 가운데 어느 하나를 배타적으로 강조하지 않고, 그리스도의 십자가상의 죽음을 통한 구원 사역에서 이 두 속성이 공존한다는 것과 그 공존 방식을 탁월한 균형 감각을 가지고 규정함을 밝힌다.

    영어초록

    The doctrine that God saves the humanity from the sin through the death of Christ belongs to the biblical revelation. But this articulus fidei seems to raise several difficult problems with regard to the reason. “Why did God become a man to save the humanity through his death, while he could apparently have obtained the same results resorting to other means?” “How could the Father drive his beloved Son to death or allow such an event to happen?” “By what sort of justice can one condemn the most righteous to the death for the sinners?” These questions are found in Anselm’s Cur Deus Homo (1098), which is deemed epoch-making work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ystery of incarnation by the reason.
    Anselm showed in this book that the satisfaction of sin through the death of Christ, God-man, was the way of human salvation compatible with the divine justice. Several decades after the publication of Cur Deus Homo, Abelard asked if it is not unjust to satisfy the sin by an innocent victim? He says that it is difficult to construe the death of Christ as the ransom for the redemption of the humanity from the sin, because the killing of the son of God constitute a greater crime deserving the wrath of God than the original sin itself. Instead, he considers the salvation of the humanity through the passion of Christ as the manifestation of his supreme love.
    Does Thomas Aquinas, who was well acquainted with the positions of these two theologians, think the cross of the Christ, as the former, focusing on the divine demand for the justice? If not, does he insist on the manifestation of divine love as the latter? Or does he adopt both positions? What are his answers to the difficult problems mentioned above?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studied the questions 1-59 of Summa Theologiae III, which are devoted to Christology and where Thomas developed his last and definite doctrines about the Christ’s works of salvation. Through our analyses of these questions, we showed that Thomas did not emphasize exclusively one of these two divine attributes, but asserted the coexistence of these two attributes and determined with an excellent balance how they coex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세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