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지울라스(John D. Zizioulas)의 관계적 삼위일체론에 대한 이해: “친교로서의 삼위일체 하나님”(The Trinity as Communion)과 그 신학적 함의 (John D. Zizioulas’ Relational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The Trinity as Communion” and Its Theological Implication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02
36P 미리보기
지지울라스(John D. Zizioulas)의 관계적 삼위일체론에 대한 이해: “친교로서의 삼위일체 하나님”(The Trinity as Communion)과 그 신학적 함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45권 / 8 ~ 43페이지
    · 저자명 : 김은수

    초록

    본 논문에서 필자는 특별히 현대 동방신학의 지도적 신학자 가운데 한사람인 존 지지울라스(John D. Zizioulas)의 삼위일체론 이해와 더불어 전체적으로 삼위일체론 중심으로 전개되는 그의 신학에 있어 그 주장의 본질적 핵심 요소들과 여러 가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 나아가 그것이 가지는 다양한 신학적 적용과 함의들에 관하여 간략하게 분석하며 살펴보았다. 그는 고대 동방교부, 특히 카파도키안 신학자들의 삼위일체론을 존재론적으로 재해석함으로서 그의 창의적인 “인격의 존재론”(ontology of person)에 근거하여 “친교로서의 삼위일체”(the Trinity as communion)를 주장하며, 참된 인격으로서의 존재는 철저하게 “관계 속에 있는 존재”, 곧 친교/교제(communion), 혹은 공동체로 실존함을 말한다. 이러한 “신교부적 종합”(neo-patristic synthesis)을 통하여 재정립하고자 하는 “인격” 중심의 존재 이해와 신학은 불가피하게 서로 나뉠수 없도록 연결된 삼위일체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교회의 이해에 있어 분명히 새로운 신학적 사유의 지평을 열어주며, 많은 중요한 신학적 함의들을 함축하고 있고, 또한 이미 지지울라스 스스로 그러한 신학적 적용을 조직신학적 주제들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시도하는 내용들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의 “인격의 존재론” 중심의 신학적 기획을 통하여, 지지울라스는 고대의 실체(substance) 중심의, 그리고 근대의 개별적 주체(the subject) 중심의 철학에 근거한 삼위일체 하나님 이해와 인간이해의 한계와 문제점들을 초극하고자 시도한다. 그것은 존재론적 필연성에 기초한 배타적으로 자기중심적이며, 개인주의적인 ‘실체’ 혹은 ‘주체’ 중심의 폐쇄적이고 자기-파괴적인 존재이해가 아니라, 참된 자유와 사랑 속에서 철저하게 자기초월(엑스타시)적인 관계 중심의 공동체적인, ‘인격’ 중심의 존재 이해로 나아간다. 여기에 그의 신학적 기획의 독창성과 중요하고도 분명한 여러 장점들과 기여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격의 존재론”에 근거한 지지울라스의 신학적 기도에는 그 독창적 공헌과 많은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한계가 노출되고 있음 또한 분명해 보인다. 즉, 지지울라스의 신학적 기획에 있어 ‘인격의 존재론’이 마치 하나의 블랙홀처럼 작용함으로서, 성경이 가르치는 다른 많은 중요한 신학적 요소들이 간과되거나 왜곡되는 경향이 있다.

    영어초록

    John D. Zizioulas(b.1931) is a leading scholar and one of the most creative theologians in the contemporary Eastern Orthodox Church. In this article, I tried to understand properly and to realize critically Zizioula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and his trinitarian theology as a whole. In doing so, I also attempted to analyze briefly its fundamental assertions, kernel factors, and various theological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in Zizioulas’ understanding of the Trinity and his trinitarian theology. First of all, he has strongly insisted a new and creative “Ontology of Person” and “the Trinity as communion,” which is originally based on the renewal and creative re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of the ancient Eastern Church Fathers, especially the three Cappadocian Fathers. In this trinitarian theological enterprise, Zizioulas rejects the ‘substance-centered ontology’, and energetically suggests a ‘person-centered ontology’, since it is more proper concept biblically and theologically in his own view. In that case, an entity (or being) as the “true person” subsists throughly as “a being in relation” or “communion.”
    Zizioulas’ person-centered ontology and trinitarian theology, based on his “neo-patristic synthesis” project, opens a new theological horizon in thinking about the mode of existence of the Triune God, human being, and the church that are inevitably interrelated each other in his theological perspectives. It suggests many important theological implications, and actually Zizioulas himself applies it to various theological doctrines in systematic theology. In its ontological focus, by means of the ontology of ‘person’, Zizioulas especially tr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in both the ancient ‘substance’ centered ontology and the modern ‘subject’ centered ontology. The ontology of substance/subject, which was based on the ontological necessity, exposed inevitably a self-centered exclusivism and destructive individualism. However, the ontology of person suggests an ecstatic being in relation, a communion in freedom, love, and life. It is originally the mode of the Triune God’s existence as communion, and then it is now our mode of existence, which is realized the “ecclesial being” as the imago tinitas. As such, Zizioulas’ creative understanding of “the Ontology of Person” and “the Trinity as communion” clearly shows many important theological implications and contributions. However, it has also various theolog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That is to say, in its concentrating ontology of person too much, it neglects and distorts many other important biblical teachings and doctr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전